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서리는 어떤 조건에서 맺히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서리는 섭시 0도 이하에서 맺히게 되는데 지표면의 온도가 0도 이하일때 서리를 발생시킬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합니다. 지표면의 온도가 0도 미만이지만 공기 중의 기온이 0도 이상이게 될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냉각을 거치게 되는것이지요.서리가 잘만들어지기 위해선 맑은 날씨여야 하며 구름이 없으면 열 복사가 지표에서 대기중으로 쉽게 빠져나가며 지표가급격하게 냉각되고 구름이 있으면 복사열이 대기에 의해 되돌아와 지표를 덥히므로 서리 형성을 어렵게 합니다.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을때 서리가 잘 발생하게 되며 공기 중 수증기가 물방울 형태로 변하지 않고 바로 고체 형태인 서리로 변할 수 있는 조건이 더 잘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높은 습도에서는 공기 중 수증기가 이슬로 먼저 맺히고, 이슬이 다시 얼어붙는 형태로 서리가 생깁니다. 리는 바람이 약할 때 잘 형성됩니다. 바람이 강하면 지면이 냉각되더라도 계속해서 따뜻한 공기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어 지표면의 온도가 쉽게 0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서리 형성이 어렵습니다. 바람이 약하면 냉각된 공기가 그대로 머물러 서리 형성을 돕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탐사가 장기적으로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 탐사가 인류 생존에 필수적인것인가에는 의견이 갈리긴 하지만 변함없이 이야기 하는것들중 하나는 지구의 자원은 고갈되고 있따는 것이지요~ 현재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은 유한하며, 빠르게 고갈되고 있습니다. 우주 탐사를 통해 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할 수 있다면, 지구 자원 고갈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인간의 생존과 관련된 부분인것이지요~ 외계 생명체를 탐사하는것 또한 굉장히 중요한데 생명이 존재한다는것은 우주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우리 인간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치게 해줄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해외여행을 가는것처럼 우주 탐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해외여행이 아닌 우주여행을 가게 되면서 새로운 산업과 경제적인 발전을 이룩할수도 있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탐사가 장기적으로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 탐사가 장기적으로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인 이윤느 과학적이나 경제적이나 윤리적이나 여러방면에서 필요로 하기 때문이지요! 인류는 빠른 속도로 지구의 자원을 소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원 고갈, 기후 변화,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주 탐사를 통해 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할 수 있다면, 인류의 자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달이나 화성에서의 물과 광물 자원 발견은 장기적인 거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우주탐사는 단지 자원의 문제 뿐만아니라 외계 생명체의 존재에 대해서도 연구하는것이기에 과학적인 의미를 높일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우주탐사를 통한 자원의 획득은 경제적으로도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소행성에서 희귀 광물을 채굴하는것이 가능하다면 우주에서의 채굴이 새로운 산업의 혁명을 일으키게 할수도 있는것이며 민간 기업들이 주도하는 우주 관광 산업도 이미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주 탐사가 상업적으로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주며, 향후 더 많은 기업들이 우주 관련 기술과 사업에 투자할 가능성이 큽니다. 인류가 우주로 확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지구를 보호하여야 하며 외계의 생명체에 대한 존중과 서로에 대한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환경과 비슷한 행성이 발견된 적이 있나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와 유사하다는 것의 의미 자체는 생명가능지대에 존재하느냐라는 것으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생명가능지대라는것은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수 있는 행서을 의미하는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케플러-452b가 있으며 2015년 1400광년 떨어진 별 인 케플러-452 주변을 돌고 있느ㅡㄴ 지구와 유사한 크기의 암석형 행ㅅ어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프록시마b를 2016년 발견하였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별인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변을 돌고 있으며 약 4.24광년 떨어진곳에 있따고 알려져있습니다. 지구와 비슷한 크기이며 별로부터 거주 가능 구역에 위치하기에 생명체가 있을수도 있따 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 이후 트라피스트-1 시스템등이 발견되게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끝까지 탐사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딥이라는곳이며 이곳은 10,994m정도의 깊은 바다입니다~ 극한의 압력과 어두운 환경으로 매우 어려우며 실제로 심해 탐사 자체가 우주 탐사와 비슷하게 굉장히 큰 기술력과 경제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현재까지 챌린저 딥을 포함하여 심해 탐사가 많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와벽하게 탐사하진 않았지요~ 미국 해군과 스위스 출신의 과학자 자크 피카르, 그리고 해군 장교 돈 월시가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챌린저 딥까지 도달했습니다. 이는 인간이 최초로 심해의 가장 깊은 곳에 도달한 사건입니다. 그러나 이 탐사는 짧은 시간이었고, 많은 연구를 진행할 시간은 없었습니다. 이 이후 영화감독이자 탐험가였떤 제임스 카메론이 특별히 제작된 잠수정인 딥씨챌린저를 통해 챌린저 딥을 도달하였꼬 약 3시간동안 탐사하며 여러 영상기록과 데이터 등을 수집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자동화된 무인 잠수정과 원격 조종 잠수정을 사용하여 마리아나 해구와 그 외 깊은 해역을 조사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심해에서 더 많은 생물, 환경, 지질적 특징을 발견하고 있지만, 여전히 심해 전체를 탐사하기에는 기술적 한계와 높은 비용이 큰 장벽으로 남아 있습니다. 심해탐사는 엄청난 압력과 어두운 환경, 고립된 환경등의 이유로 탐사가 굉장히 어려운곳중 하나입니다!
5815825835845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