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태양은 붉게 보이는데 하늘만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빛의 산란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인데 태양 빛은 다양한 ㅍ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여러 색상의 빛들이 그 안에 포함되어 있게 되는데 이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며 특정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며 하늘은 파랗게 태양은 붉게 보이게 하는 것이지요~ 대기의 입자들은 가시광선 중 파장이 짧은 빛을 더 강하게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태양 빛이 지구 대기층에 도달하면 그 빛이 공기의 분자에 부딪히면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사방으로 흩어지며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면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파란색 빛은 파장이 짧아 대기중의 분자에 의해 쉽게 산란되는 것이지요. 반면에 빨간색 빛은 파ㅏㅈㅇ이 길어 산란이 적게 일어나 태양을 직접 볼때 인식하게 되는것입니다~ 낮동안 태양이 하늘에 높이 떠잇을땐 태양빛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통과하며 우리논에 도닳여 파란색 빛이 산란되어 보이지만 태양이 질때인 해질녘이나 해가 뜰대는 태양빛이 더 두꺼운 대기층을 비스틈하게 통과하면서 파란색빛이 더 많이 산란되게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SETI 프로그램은 언제부터 시작한 프로겍트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SETI는 1959년 프로젝트로 외계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도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전파를 사용하겠지? ㅏㄹ는 형태로 시작된 프로제그입니다. 1959년 필립 모리슨과 주세페 코코니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외계 문명이 전파를 통해 의사소통할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면서 수소 21cm 스펙트럼 라인 주파수 대역을 탐색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것이죠.이 이후 1960년 프랭크 드레이크가 실질적인 SETI프로젝트인 오즈마 프로젝트를 실행에 옮기며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그린 뱅크 천문대에 65피트짜리의 라디오 망원경을 ㅅ러치해 두개의 근처 별(타우세티,엡실론 에리다니)에서 오는 전파 신호를 탐지하려고 시도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여러방향으로 여러 형태로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타임머신이 과학적인 이론으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타임머신은 아이슈타인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지요~ 아이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절대적이지 않고 관측자의 속도에 따라 다르게 흐르게 되는데 빛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에선 시간지연현상을 가지게 한다는 것이지요. 빛의 속도에 가까운 우주선을 타고 먼 곳을 여행할 경우 우주선 내부에선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지구에 있는 사람들은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흐르게 하는 과정을 거치게 한다는것이지요. 이 원리로 미래로 가는 시간여행을 이론적으로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인데 현실가능성은 아직까지는 힘들것 같아요~ ㄸ한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해 시공간을 휘게 만드는 강력한 중력장에 의해 웜홀이 생기게 되는데 웜홀로 시공간의 두점을 빠르게 연결하여 동시에 뛰어다니는 역할을 하게 합니다. 즉 이론상으로는 미래로의 시간여행은 가능해보이지만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시간의 역설등에 의해서 명확한 결론이 이론적으로도 앚기 안나있는 상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달을 관찰하다보면 음력 16일 더 둥글던데 사실인가요? 제 관찰로는 그래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음력 16일의 달이 음력 15일의 달보다 더 둥글어 보이는 현상은 달의 주기와 음력 날짜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기에 그렇게 보일수도 있습니다! 달은 지구를 약 29.5일 한바퀴 돌기에 보름달이 되는 시점이 정확하게 음력 15일은 아니게 되지요~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5일이 둥그렇고 ㅂ락을수도, 16일이 둥그렇고 밝을수도 있께 되는 것이지요! 보름달은 달이 태양 반대편에 이ㅜ치해 지구에서 볼때 달의 100%가 태양에 의해 보여지는 현상입니다~ 관찰조건에 따라서 조금은 더 달라질수도 있께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20일 작성 됨
Q.
항섬들은 모두 기체로만 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항성들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야만 가볍고(수소나 헬륨 같이) 이로 인하여 핵융합 반응이 자유롭게 일어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낼수 있게 됩니다~ 항성은 여러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핵(핵융합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헬륨을 생성하면서 많은양의 에너지를 방출함. 따라서 압력과 온도가 높아 수백만도에 이르며 수소와 헬륨 같은 원소들이 플라즈마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기체보다 더 높은 에너지 상태로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됨), 복사층과 대류층(핵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바깥 외각으로 전달되는 층으로 복사와 대류에 의해서 에너지를 전달함), 표면인 광구(우리가 망원경으로 보는 별의 표면으로 수소와 헬륨이 존재), 항서대기층(채층이나 코로나를 ㅗㅍ함하여 높은 온도를 가지게 함)으로 나뉠수 잇으며 항성은 수소오 헬륨이 99%가가이를 차지하며 다른 산소나 탄소 질소 철같은 무거운 원소들은 극히 일부분 가지게 되면서 진화하는 과정을 거치며 폭발하며 방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입니다~항성의 대부분 물질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부의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플라즈마로 되게 되는것이지용!
596
597
598
599
6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