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올때 천둥소리가 엄청 크게 들리는데 그 소리는 어떻게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비가 올때 하늘에서 들리는 천둥소리는 번개가 발생할때 나오는 소리이며 공기중에서 엄청난 열과 에너지를 방출하며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번개는 구름 내부나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전하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며 구름 속의 물방울과 얼음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전기적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 전기가 구름과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로 방전되며 번개가 발생하게 되는것이지요~ 번개가 발생하면 번개의 경로에 있는 공기가 매우빠르게 가열되며 이에 따라 수천도에서 수만도에 이르는 열에 나타나게 되어 순간적인 공기의 팽창을 일으키게하여 충격파가 나타나며 공기중으로 퍼져나가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것입니다. 급격히 팽창한 공기는 다시 수축하게 되고 이 괒어에서 충격파가 발생하여 소리로 전달되는것이지요! 천둥소리는 번개의 발생 위치와 우리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계속적으로 높은 기온이 유지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계속해서 높은 기온이 유지되는 이유중 가장 많이 이야기하는것은 당연히 많이 들어보셨을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현상으로 그런것이지요~인간의 무분별한 이산화탄소 증가(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지구의 많은 열이 가두어지게 되었고 기온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온실가스가 대기중에서 열을 흡수하고 다시 지표면으로 방출하는 과정에서 지구의 온도를 높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지구가 덥게 된 현상이지요~ 특히 우리나라에 오랫동안 고온이 유지된 가장 큰 원인으로 요즘 이야기하는것은 고기압이 너무 오랫동안 머무르게 되었따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영향을 주는데 평년보다 더욱 더 오랜기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며 머무르게 되어 지금과 같은 더위가 유지된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지요~ 해양의 온도 상승도 지구의 기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수증기가 더 많이 증발하고 대기의 습도가 더 높아지면서 열대성기류가 강해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엘리뇨와 같은 것도 우리에게 영향을 주게 되었고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대도시가 많이 있기에 도시 열섬 ㅎ과에 의해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것들이 우리에게 영향을 주고 있어 열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면서 나타나게 된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 측정기는 어떻게 지진을 감지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진측정기는 지진으로 인해 나타나는 지진파를 감지합니다~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민감하게 감지할수 있도록 센서가 있으며 규모, 진원 등을 분석하는것이지요~ 지진 측정기의 기본적인 원리는 진동을 감지하여 관성을 이용하는것입니다. 관성의 원리를 통해 가만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움직이게 되면서 그래프를 형성하게 되는것이지요~ 이렇게 형성된 파동은 P파, S파, L파로 나누어 분석하며 미리 예측은 어렵지만 이를 토대로 앞으로 나타날 지진등을 예측해볼수는 있께 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그림자를 이용하여 시간을 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그림자를 이용하면 시간을 잴수 있는데 이는태양이 하루동안 하늘을 이동하기에 물체의 그림자가 길이와 방향을 다르게 할수 있꼬 이에 따라 시간을 측정하게 하는 것이지요~ 이를 우리는 해시계라고 부르며 그림자가 태양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방식을 이용해 측정하게 되는것이며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서 떠오르면 그림자가 서쪽으로 늘어나게 되며 태양이 하늘에서 가장 높게 뜨는 정오엔 그림자가 짧으며 북쪽이나 남쪾으로 형성하게 되는것이죠~ 오후엔 서쪽으로 지면서 그림자가 동쪽으로 다시 길어지는 것을 이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의 자전축과 평행하게 기울여서 막대를 설치하고 (위도에 맞추어) 해시계 표면에 시간 눈금을 새기며 그림자가 그 눈금을 지나가며 시간을 나타내게 하여 태양의 일주 운동을 기반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고도에는 물시계나 양초시계 모래시계등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행성별로 탈출 속도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탈출속도를 결정하는것은 중력과 관련되어 있기에 천체의 질량과 반지름을 어떻게 형성하냐에 따라 달라지며 탈출속도는 질량에 비례하고 반지름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행성별로 질량과 반지름이 모두 ㅏ르기에 탈출속도도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지구는 11.2km/s정도이며 목성은 60km/s입니다. 달은 2.4km/s로 굉장히 낮은 편이기도 하지요~ 블랙홀은 빛의 속도도 탈출하지 못하기에(300,000km/s) 더 강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빠져나올수있을것으로 보입니다~
6316326336346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