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지구의 최초의 하늘은 지금처럼 하늘색이엇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하늘은 초창기에 지금과 같은 모습이 아니였을거라고 보고 있ㅅ브니다. 지구가 형성된 초기엔 대기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가벼운 기체들이 태양풍에 의해 우주로 날아가버렸으며 지구 내부에서 일어난 화산활동으로 이산화탄소나 질소 메탄 암모니아 등의 무거운 기체들이 방출되며 새로운 대기를 형성하게 되었찌요~ 초기 대기는 산소가 거의 없었으며 청명한 오늘과 같은 모습이 많이 없었을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많은 그때당시의 모습이 오렌지색이나 붉은색을 띄었을거라고 볼수 있는 것이지요~ 이지구의 대기 성분이 24억년 전 산소 대증가 사건을 거치면서 광합성하는 생물들이 ㅅㄴ소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시작하며 산소의 양을 크게 증가시켰고 산소와 질소가 주요 성분으로 자리 잡으며 레일리 산란이 가능해지며 현재와 같은 짧은 파장의 파란빛이 더 많이 산란되기 시작하여 하늘의 모습이 파랗게 보이게 된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도 수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넹~! 블랙홀에도 수명이 있지용 블랙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사라질수도 있게 됩니다~ 이 과정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며 이론적으로 블랙홀도 언젠가 끝에 있따고 보고 있으며스티븐 호킹이 블랙홀이 완전히 영구적인 천체가 아니다는 이론을 제시하였고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 양자역학적 효과에 의해 입자의 ㅏㅅㅇ이 생성되고 입자 쌍중 하나가 블랙홀로 빨려가고 나머지 하나는 밖으로 방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에너지를 잃으면서 점점 작아진다고 보게 되지요~ 초신성 폭발 이후 남은 질량이 중력 붕괴를 일으키며 만들어지기에 그 별의 죽음 이후 형성되며 이후로는 호킹 복사나 주변 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에 의해 크기와 수명이 달라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지1 삼각주 단면 = 점이층리 역전 단면 이니까 삼각주는 점이층리 퇴적구조이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점이층리 구조는 퇴적물들이 기울어진 층으로 쌓이는 퇴적구조로 사구나 하천 삼각주 등에서 많이 형성됩니다. 이 구조는 물이나 바람의 흐름에 의해 퇴적물이 경사면을 따라 퇴적될때 발생하며 입자가 큰 퇴적물과 작은 퇴적물이 교대로 쌓이면서 나타나지요~ 점이층리는 물이나 바람이 퇴적물을 이동시키며 경사진 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조입니다. 삼각주는 하천이 바다나 호수에 유입되면서 퇴적물이 쌓이는 구조이며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역전된 층리를 나타내게 합니다. 수심의 변화나 퇴적속도에 따라 미세한 차이는 있을수 이찌요~ 삼각주에는 역전된 점이층리가 나타나긴 하짐나 삼각주 자체가 점이층리 구조와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점이층리는 특정 퇴적 구조를 나타내는 반면, 삼각주는 하천에서 바다로 연결되는 퇴적환경중 하나인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초신성 폭발은 얼마나 지속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초신성폭발은 몇초에서 수분동안이지만 그 여파는 오랜시간동안 이루어지게 됩니다~ 별의 중심부가 중력 붕괴로 빠르게 압축되면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 에너지가 별의 외곽층을 폭발적으로 날려버리며 별은 강력한 빛을 방출하게 되지용. 폭발 이후 초신성의 밝기는 점점 증가하며 최대 밝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보통 몇시간에서 며칠정도 지속되게 되는것이지요~ 폭발이후 초신성의 밝기는 점점ㅈ ㅡㅇ가하며 최대 밝기에 도달하며 몇시간에서 며칠정도 후에 최대밝기에 도달하게 됩니다. 한개츼 소신성이 한개의 은하 전체만큼 밝을수도 있게 되지용~그 이후 점점 밝기는 감소하고 몇주에서 몇개월정도에 걸쳐 이루어지게 되빈다. 초신성은 몇달동안 관찰되기도 하며 방출된 물질이 주변 성간 물질과 상호작용하며 빛을 계속 방출하게 되는것이지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베텔기우스 뜻이 왜 겨드랑이인지 그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의 거대한 적색 초거성으로서 아랍어에서 유래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랍어의 뜼으로 거대한자의 손 오리온의 손이라는 의미이며 시간이 흐르면서 잘못해석되면서 오리온의 겨드랑이로 변질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641
642
643
644
6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