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옷이 물에 젖으면 피부에 달라 붙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옷이 물에 젖게 되면 피부에 달라붙게 되는것은 물의 표면장력과 모세관현상과 물 분자의 극성에 의해 여러 요인이결합된 결과인것이지요~ 물은 수소결합 때문에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고 있으며 물 분자가 서로 강하게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에 젖은 옷과 피부사이에 물이 있다면 물분자가 옷과 피부를 강하게 말칙시키는 경향을 가지게 됩니다~물은 섬유와 같은 작은 틈새를 따라 이동하며 이러한것들을 모세관현상이라고 하지요~ 섬유 속의 물이 피부와 옷 사이로 스며들게 되며 그 결과 물이 섬유 사이를 메우게 되면서 옷이 피부에 가깝게 밀착하는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지요~물 분자 자체는 극성부자이기에 전기적으로 약간의 긍정적, 부정적 전하를 가지고 있으며 물의 극성 덕분에 물 분자가 피부나 옷의 섬유에 쉽게 달라붙어 피부와 옷 사이에 있는 물이 그 사이를 채우고 달라붙게 하는 원인이 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태풍 야기가 중국을 향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슈퍼태풍으로 분류되는것은 초속 67m이상의 풍속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야기는 이로 인해 슈퍼태풍으로 분류되었지요~ 강력한 바람과 비로 인해 여러 곳에 피해를 입힐수 있으며 매우 위험하기에 적절한 대피가 필요로 할것으로 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지구형 행성은 어느 정도 거리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프록시마 센타우리 b라는 행성이 가장 가까운 지구형행서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항성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인데 별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이 프록시마 센타우리 b인것이지요~ 지구보다 약간 더 크거나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지구형행성으로서 태양계에서 가장 까깝습니다! 거리는 약 4.24광년에 위치해있꾸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태풍이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풍이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이유는 태풍자체가 생겨나는 원리를 이해가 어느정도 되어야 하는데 태풍은 해수면의 온도가 약 26.5도 이상에서 발생하며 해수면의 온도 자체가 남태평양이 열대지역에 속하여 형성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기 때문이며 따뜻한 해수면이 공기중으로 ㅁ낳은 수분을 증발시키고 수분이 상승하게 되며 응결되어 에너지를 방출하여 태풍을 만들어내게 되는것이지요~ 태풍이 발생하려면 해수면에서 형성된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저기압 지역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남태평양의 열대 지역은 고온다습한 공기가 상승하는 저기압 지대가 자주 형성되는 곳입니다. 이 저기압 지역에서 공기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태풍의 전단부가 만들어지며, 이것이 점점 강력해지면서 태풍이 됩니다. 또한 태풍은 강력한 힘이 전향력이라는 지구자전에 따른 효과로 나타나는 힘에 의해 공기나 물이 회전하게되며 나타나게 되며 적도 근처에선 약하지만 점점 멀어지며 남태평양에 오면서 굉장히 강해지면서 나타나게 되는것이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우주에 있는 별들은 다 지금 처럼 다 동그런 모양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에 있는 별들이 둥근 형태를 가지는 이유는 중력때문이며 별이 거대한 가스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꼬 그 자체의 중력으로 내부가 끌어당기는 힘을 형성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지요~ 중력은 별의 모든 부분을 중심으로 끌어당겨 구형의 형태를 유지하게 해주며 구형은 중력의 영향 아래에 물체가 안정적으로 형성될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모양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중력 자체가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작용하고 물질이 중심으로 끌려가 구형을 이루게 되며 별 내부에서 중력과 가스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며 균등하게 힘이 분포하며 구형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지요~ 대부분의 별은 구형이지만 완벽하게 구형이 아닌 경우도 있으며(별이 고속회전하여 적도가 부풀어 오르는 타원이 될수도 있음) 중성자별의 같은 경우 극도로 밀도가 높아 매우 강한 중력으로 찌그러지거낭 ㅣㄹ그러진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661
662
663
664
6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