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근래에 새로 발견된 행성이나 좋은 행성들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지구와 잘 적합한 행성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Gliese 12b는 최근에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지구에서 약 40광년 떨어져 있고 이 행성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이며, 적색 왜성 주위를 도는 궤도에서 발견하게 됩니다~ 이곳은 생명가능지대에 위치하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가지며 온도와 크기가 금성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TOI-715 b는 NASA의 TESS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또 다른 유망한 행성입니다. 이 행성은 지구보다 약 1.5배 크며, 작은 적색 왜성 주위를 돌며 똑같이 생명가능지대에 위치한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을에는 하늘이 높아 보이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가을에는 대기의 습도가 여름보다 낮아지고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고, 이는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하늘이 약간 뿌옇게 보이게 만듭니다. 반면 가을에는 공기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대기가 더 맑고 투명해지며, 하늘이 더 높고 맑게 보이게 되는 것이지요~ 가을철에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많아지고, 구름이 적게 형성되고 하늘에 구름이 적을수록 하늘이 더 넓고 높게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하지요~ 가을에는 기온의 변화로 인해 대기가 더 안정된 상태가 되고 여름철에는 지표면이 뜨겁게 가열되면서 대류 현상이 활발해지고, 이는 구름 형성과 대기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게 하는 것이죠. 그러나 가을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대류 현상이 줄어들고, 대기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하늘이 더 맑고 파랗게 보이게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수성 탐사선 Mariner 10의 탐사결과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1973년 11월 3일 금성과 수성이라는 목적지로 대기, 표면, 환경 등을 탐사하려고 하였ㅇ며 수성의 표면을 최초로 고해상도로 촬영했습니다. 이로 인해 수성의 표면이 달과 유사하게 매우 크고 오래된 충돌구로 덮여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수성의 표면이 지질학적으로 오랫동안 활동이 없었음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촬영한 사진 중 수성 표면에서 가장 큰 충돌구 중 하나인 카이퍼 충돌구를 발견하게 하였습니다~ 수성이 미약하지만 존재하는 자기장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고 매우 희박하며, 주로 헬륨과 수소, 산소, 나트륨, 칼륨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서 블랙홀은 왜 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진 별(태양 질량의 약 20배 이상)이 생애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별은 수명을 다하면 핵융합 반응이 멈추고, 중력에 의해 중심으로 급격히 수축하게 되고 이때 별의 외부 층이 폭발하는데, 이 현상을 초신성이라고 하지요. 초신성 폭발 후 남은 중심부의 질량이 충분히 크다면, 그 중력은 무한히 작은 공간(특이점)으로 붕괴하게 되는 상태를 블랙홀이라고 합니다. 만약 별의 질량이 비교적 작다면, 중성자별로 붕괴될 수 있으며 매우 큰 질량의 별이라면 중성자별조차 중력 붕괴를 막지 못하고 블랙홀로 변하게 되는 것이죠~ 블랙홀 자체는 빛을 포함한 어떤 것도 탈출할 수 없는 강한 중력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블랙홀이 갑자기 생성되더라도 이를 즉시 감지하기는 어렵고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주변의 물질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면서 X선과 같은 강력한 방사선을 방출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주변 물질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블랙홀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블랙홀의 병합과 같은 강력한 우주적 사건은 중력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지구에서 특수한 장비를 통해 감지할 수 있습니다. 구가 블랙홀에 빨려들어갈 가능성은 극도로 낮습니다. 블랙홀은 우주에서 매우 희귀한 천체이며, 현재 태양계 근처에 블랙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가 블랙홀에 의해 위협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정거장에서 오래생활하다가 지구에 오면 눈에 흰빛의반짝 섬광현상을 왜 자주느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 방사선은 우주에서 지구로 도달하는 고에너지 입자들로, 주로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이나 외부 은하에서 기원한 고에너지 우주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에서는 대기와 자기장이 대부분의 우주 방사선을 차단해주지만, 우주에서는 이러한 보호가 부족하고 우주 방사선이 우주비행사의 눈을 통과할 때, 고에너지 입자들이 망막에 충돌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입자들이 망막의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빛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빛을 보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광시증을 야기하게 됩니다~ 우주에서의 경험은 우주비행사의 신경계에 일종의 잔상 효과를 남길 수 있습니다. 지구로 돌아온 후에도 우주 방사선에 의해 자극받은 신경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눈에 흰빛의 섬광이 보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