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을 하늘은 왜 높고 파란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가을의 대기 자체가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맑은 날이 많으며 직전의 계절인 여름철에는 대기 중에 수증기와 미세 먼지가 많아 하늘이 흐릿하거나 뿌옇게 보일 수 있는 반면에 가을에는 대기의 습도가 낮아지면서 대기가 맑고 투명해지게 되는 것이지용~ 태양빛이 대기 중의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정도가 줄어들어, 하늘이 더 파랗고 깨끗하게 보입니다. 태양빛이 대기 중에서 산란될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강하게 산란되는데 가을철의 대기는 맑고 건조하기 때문에, 여름이나 봄보다도 파란색 빛의 산란이 더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 결과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여름철에는 높은 습도와 대기 중의 입자가 더 많아,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덜 파랗게 보일 수 있지만 가을에는 이러한 입자가 줄어들어 빛의 산란이 감소하고, 파란색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가을철은 여름보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며 태양이 낮게 위치하면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빛이 더욱 많이 산란되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태양이 낮아짐에 따라 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각도도 변화하며, 이로 인해 하늘이 더 깊고 파랗게 보일 수 있습니다. 가을은 여름보다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구름이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이 될수 있기에 더 넓어보이고 파랗게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기 도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항성과 행성은 어떤차이가 나는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항성은 스스로 빛과 에너지를 생성하는 거대한 공 모양의 천체이며 항성의 중심부에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빛과 열이 방출됩니다. 태양이 대표적인 항성이지용~ 항성 내부에서는 주로 수소가 헬륨으로 변하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항성이 스스로 빛을 낼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항성은 우주의 에너지원 역할을 합니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주변 행성들에게 빛과 열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행성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내게 합니다! 항성은 행성에 비해 훨씬 크고, 표면 온도는 수천에서 수만 도에 이릅니다. 항성의 크기와 온도에 따라 색깔도 다르게 보이는데, 예를 들어 뜨거운 항성은 파란색, 비교적 차가운 항성은 붉은색을 띱니다. 행성은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로,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반사하여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행성은 항성 주위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공전합니다. 이 궤도는 행성이 태양이나 다른 항성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가장 큰 차이점은 항성은 스스로 빛과 에너지를 내는 반면, 행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행성은 항성의 빛을 반사하여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금 위치에서 땅을 파면 지구 반대편으로 나오나요? 만약 나온다면 머리부터 나오나요 다리부터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 지구를 관통하는 터널을 파서 반대편으로 나올 수 있다고 가정해보면 지구의 중심을 지나 반대편으로 나온다면, 중력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땅을 파기 시작할 때, 지구의 표면에서는 중력이 아래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다리부터 땅을 파 내려가겠죠. 하지만 지구의 중심에 도달하면, 그 중심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중력이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중력이 거의 없다고 느껴질 것입니다. 중심을 지나 반대편으로 가까워지면, 이제 반대편의 지표면을 향해 중력이 작용합니다. 이때 중력의 방향이 바뀌어야 하므로, 몸이 반대로 뒤집히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결과적으로 지구 반대편에서 나올 때는 다시 다리부터 나오게 될 것입니다. 지구 반대편 사람들은 당연히 머리로 걷지 않습니다. 중력은 항상 지구의 중심을 향해 작용하므로, 지구 어느 곳에 있든 발이 지구의 중심 쪽을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 반대편 사람들도 우리가 걷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걷습니다. 실제로 지구를 관통하는 터널을 판다면, 터널 자체는 지구를 반으로 갈라지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터널을 파는 과정에서 지구 내부의 지각, 맨틀, 외핵, 내핵을 관통하게 될 텐데,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 그리고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지구의 자연적인 상태가 크게 교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가 공전하는데 우리가 못 느끼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가장 큰이유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물체가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현재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매우 일정한 속도로 공전하고 있으며, 우리는 지구와 함께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지구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KTX를 타면 우리가 첨에는 빠르게 움직인다고 느끼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무뎌지는게 이와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무엇보다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기에 (108,000km/h로) 가속이 붙지 않고 그렇기에 우리는 움직임을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용!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별과 인공위성을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하늘을 가로질러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며 별처럼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움직이며 하늘을 가로지르며 움직이기에 몇 분 안에 시야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인공위성은 보통 별처럼 반짝이지 않으며 별이 반짝이는 이유는 지구 대기의 불규칙성 때문에 빛이 굴절되기 때문이지요~ 반면, 인공위성은 대기권 밖에서 햇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은 대체로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때때로 밝기가 갑자기 변하거나 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위성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거나, 햇빛을 반사하는 각도가 달라질 때 발생합니다. 별은 천구상에서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지구의 자전 때문에 천천히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전체 하늘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며 별 자체는 일정한 위치에 머물러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별과 인공위성을 구별하는 방법은 하늘에서 해당 물체가 이동하는지 관찰하는 것이에용! 인공위성은 일정한 속도로 하늘을 가로질러 이동합니다. 반면, 별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 있는 특징을 유지하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