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에서 화산폭발이 일어난 지형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금 현재는 활화산이 우리나라에 없긴 하지만 과거에는 화산활동의 흔적이 있었던 곳이 여러곳 있지요~ 대표적으로 제주도의 한라산입니다~ 제주도 자체가 약 1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 사이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입니다. 한라산은 제주도 중앙에 위치한 성층화산으로, 이곳의 백록담이라는 화산호(칼데라)는 분화구에 물이 고여서 만들어졌으며 한라산의 마지막 분화는 약 1만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지용~! 다음으로 울릉도입니다~ 울릉도는 약 200만 년 전부터 5000년 전까지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입니다. 이 섬의 독특한 지형은 분출된 용암과 화산재가 쌓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울릉도 중심부의 나리 분지와 같은 지형도 화산 활동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독도 또한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서 약 460만 년 전에서 250만 년 전에 일어난 화산 활동의 결과로 독도의 지형이 형성되었습니다. 이 섬은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규모의 화산섬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보이저 2호'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보이저 2호는 나사가 1977년 8월 20일에 발사한 우주 탐사선으로서 태양계 외곽과 그 너머를 탐사하기 위해 설계 되었으며 보이저1호와 함께 쌍둥이탐사선이였습니다~ 보이저 2호의 주 임무는 태양계의 가스 행성들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네 행성은 보이저 2호의 경로를 따라가며 각각 상세히 탐사하였고 1979년에 목성에 도달하여, 목성의 대기, 자기장, 위성들을 조사하고 이오의 화산 활동과 유로파의 얼음 표면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후 1981년에 토성에 도달하여, 토성의 고리 구조와 위성 타이탄을 포함한 여러 위성을 탐사했으며 1986년에 천왕성에 도달한 유일한 탐사선으로, 천왕성의 대기, 자기장, 위성 미란다의 표면을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1989년에 해왕성에 도달하여, 해왕성의 대기, 거대한 폭풍인 대흑점, 그리고 위성 트리톤탐사도 이루어지게 되지요~ 태양계의 가스 행성들을 탐사한 후, 태양계의 경계를 넘어 성간 공간으로 진입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태양풍의 영향이 미치는 한계를 연구하고, 성간 물질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현재도 태양계 밖에서 성간 공간을 탐사 중이며, 지구와의 거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이저 2호는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으며, 인류가 우주에 남긴 가장 먼 기록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와 관련하여 열죽음(heat death)란 어떤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열죽음이란 우주의 궁극적인 운명에 대한 하나의 이론적 시나리오로, 우주가 결국에는 모든 물리적 과정이 멈추는 상태에 도달을 의미하게 됩니다~ 열죽음은 열역학 제 2법칙에 근거한 개념으로 닫힌 계에서는 엔트로피(무질서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항상 증가하고 우주 전체를 닫힌 계로 볼 때, 시간이 지나면서 에너지가 점점 더 고르게 분포되어 엔트로피가 최대가 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며 더 이상 에너지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태를 으미하지요~ 열죽음 상태에선 우주가 전체적으로 열적 평형에 도달하는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모든 물체와 공간이 동일한 온도에 도달하게 되어, 열이나 에너지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상태로서 더 이상 별의 형성, 에너지 방출, 화학 반응 등 중요한 물리적 과정이 일어나지 않게 됨을 의미하게 됩니다~ 열죽음은 우주의 가능성 중 하나로, 우주가 팽창을 계속하면서 점점 더 식어가고, 결국에는 모든 별들이 연료를 다 쓰고, 블랙홀마저 증발하며, 우주가 완전히 차갑고 어두운 상태가 되는 미래를 예측하게 하여 영원히 정지된 상태로 남게 됩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