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지구 밖의 외계문명은 정말로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는 굉장히 크고 넓기에 실제로 우리 지구에만 생명체가 산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게 되겠지요~ 우리는 생명가능지대라고 하며 골디락스존 지역이 있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보통의 생명체는 물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지역이 어느곳인지 파악하는것이며 말씀하신것처럼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생명체가 잇을수도 있찌용~ 예를들면 우리는 산소가 있어야 하는데 탄소만 있어도 살수 있는 그런 생명체가 잇을수도 있는것이기에~ 다른 곳에 외계 문명이 충분히 있을수도 있따고 보는것입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ㅏㄷ!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우주에는 정말 인간만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는 굉장히 크다고 알려져 있지요~ 지금 현재 우리가 관측가능한곳만 해도 930억광년이 되기 때문에 ㅅ일제로는 이보다 더 클수도 있습니다. 이 거대한 공간에 수천억개의 은하가 있고 은하 안에는 또 수천억개의 항성과 행성등들을 포함하게 되기에 이 넓은 공간안에 우리 지구에만 인간이 산다는것은 어불성술이기도 하지요~ 이를 프랭크 드레이크라는 사람이 방정식을 세워 외계에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을 계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나사와 같은 우주 기관들이 열심히 생명체의 흔적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외계 행성들을 우주 망원경등을 이용하여 확인하려고 하고 있으며 생명체가 존재하는 환경이나 생명체의 존재 등을 찾을려고 노력하고 있찌요~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딥러닝 기술은 현재 어느정도까지 학습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딥러닝은 AI기술의 핵심이며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분야라고 합니다~ 딥러닝은 언어 모델이 인간처럼 문장을 이해하고 생성하는데 뛰어난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대화형 AI가 챗GPT같이 챗복이나 가상의 대화상대로서 사용자와 다양한 대화를 하게 해주는 것이지요~ 또한 이미지의 분류가 얼굴 인식등의 이미지 인식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자율주행자동차가 움직일수 있도록 해주기도 하며 생성형 이미지를 통해 작품등을 만들어내기도 하는것지요~ 또한 딥러닝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기도 하며 음성을 합성하기도 합니다~ 알파고와 같은 바둑과 같은 게임에서도 이들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새로운 약물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인간들이 자전하는 지구에 살고 있는데 자전이나 공전을 체감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속도는 약 1670km/h로 굉장히 빠르지만 속도가 일정하게 회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면서 느끼게 되는데 지구의 자전속도는 일정하기에 이를 못느끼는것이지요~ 뉴턴의 관성 법칙에 의해 정지한 상태이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는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고 지구의 자전과 함께 모든 물체가 같은 속도로 움직이기에 우리는 움직임을 못느끼는 것이지요~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일때 차 안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은 그 움직임을 못느끼는것이지요~ 우리가 KTX를 탈때 첨엔 속도를 느끼지만 나중에 지나면 속도를 못느끼는 원리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원심력은 지구의 중력보다 훨씬 약하기에 중력이 우리를 단단히 붙잡게 되는데 이에 따라 우리는 중력에 의해 끌어당겨 지는 것이며 공전또한 일정한 속력으로(107,000km/h)움직이기때문에 우리는 이를 잘 못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빙하속에는 정말로 동굴이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빙하동굴은 자연적으로 형성된것이며 빙하 표면이나 내부의 얼음이 햇빛, 지열, 압력에 의해 녹으면서 물이 되면 이 녹은 물이 중력에 의해 빙하 아래로 흘러가면서 빙하 내부를 관통하는 물길을 만들어내게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물길이 확대되면서 물길을 만들어내며 동굴 형태를 갖추게 하는 것이지요~ 빙하가 이동하거나 압력을 받을때 균열과 틈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균열로 물이 유입되면서 동굴을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지요~ 이후 물이 얼고 녹는 과정에 따라 동굴의 크기와 형태가 변화하며 만들게 됩니다. 빙하의 표면에서 눈이 녹아 물이 빙하 내부로 스며들어 동굴을 형성하게 합니다. 빙하가 압축되면서 내부에 압력에 의해 작은 공간이 형성되기도 하지요~ 빙하 동굴 내부는 빛이 얼음을 통과하며 파란색, 녹색 등의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며 빙하 동굴 자체가 매우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동굴 내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붕괴될수도 있지요~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696
697
698
699
7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