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가 부르는 은하수라는건 정확하게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는 우리 은하 내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은하수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포함한 수많은 별들이 모여 만들어진 빛의 띠이며 은하의 평면을 따라 퍼져 있으며 밝은 밤하늘에서 관찰하게 되는 것이지요~ 은하수는 수십억 개의 별들, 성운, 성단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빛의 띠는 너무 많은 별들이 밀집해 있어서 개별적인 별로 보이지 않고, 하나의 연속적인 빛의 띠로 보이게 됩니다~!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Q. 중생대에는 빙하기가 없는데 공룡 멸종 가설에 왜 빙하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 전체가 두꺼운 얼음으로 덮이는 시기인 빙하기는 신생대에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생대에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중생대는 오히려 온난한 기후가 우세했던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이 공룡 멸종 시기인 중생대 말기(백악기 말기)에 급격한 기후 냉각이 있었을 가능성을 이야기 하였고 이 냉각이 전통적인 빙하기 수준은 아니었지만, 당시의 공룡들이 적응하기 어려운 정도로 급격하게 온도가 낮아졌을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인 것이지요~ 이로 인해 일부 연구에서는 빙하기라는 용어를 넓은 의미로 사용하여 이러한 기후 냉각을 설명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소행성 충돌이나 대규모 화산 폭발이 대기 중에 먼지와 에어로졸을 방출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지구가 급격히 냉각된것으로 보고 있으며 말그대로의 빙하기가 아닌 생존하기 어려운 빙하기였따고 해석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날이 덥습니다~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물을 통과할 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가시광선은 물을 잘 통과되지요 이는 380nm에서 750nm 사이의 파장이 빛을 포함하며, 물 속에서도 충분히 멀리까지 전달시키게 되며 이 때문에 우리가 물 속에서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더 큰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물에 의해 더 쉽게 흡수되어 적외선이 물을 깊이 통과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적외선은 물 분자에 의해 강하게 흡수되어, 물을 통과하는 거리가 제한되는 것이지요!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며, 물에 의해 상당히 흡수되며 UV-C와 같은 짧은 파장의 자외선은 거의 물을 통과하지 못하며, 대부분의 자외선이 물의 표면에서 흡수되게 되지요~ 이외에 X선, 감마선 라디오파 모두 다 같습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