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양분지라는게 정확히 어디를 말하는것이고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해양 분지란 지구 표면의 주요 지형적 특징 중 하나로, 대양의 바닥에서 넓게 퍼져 있는 저지대를 말합니다. 전 세계의 대양 바닥에 있고, 대양을 구성하는 가장 깊은 부분을 차지하지요~ 크게 대양저평원(매우 평탄하고 넓은 해양분지의 바닥으로 대부분을 차지), 심해구(해양분지의 가장 깊은 부분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 해양판을 섭입시킴), 해령(중앙에서 발견되는 해저 산맥으로 새로운 해양지각을 형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양 중앙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형성되면서 해양판이 양쪽으로 확장되며 해양분지가 형성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양분지가 점점 넓어집니다. 해양판이 대륙판 또는 다른 해양판 아래로 들어가면서 심해구를 만들고 섭입되는 해양판은 깊은 곳에서 녹아 마그마를 형성하고, 이는 다시 화산활동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해양분지의 바닥에는 주로 해양 생물의 유해, 점토, 모래 등의 퇴적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쌓여있으며 해저산맥 해령 해구 등의 여러 영역들을 가지고 있지요~열수 분출공이라는 곳 근처에서는 뜨거운 물이 분출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게 합니다! 해양분지는 지질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생태학적, 지구화학적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역입니다. 해양분지는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지구의 탄소 순환, 지구 화학적 순환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ㅅ브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여름철 태풍과 가을태풍과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여름철 태풍은 주로 초여름부터 늦여름까지 발생하며 태양의 열에 의해 해수면 온도가 매우 높아지면서 태풍이 형성되기 태풍 스스로가 크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됩니다. 여름철에는 해수면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기 중의 습도와 바람의 조건에 따라 태풍이 형성되는 지역이 조금 더 남쪽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대체로 규모는 작거나 중간 정도일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하게 발달하여 태풍의 북상 경로를 조절하게 되지요. 더 남쪽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잡아 중국 남부나 일본 남부를 통과한 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보다 남쪽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름철에는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릴 수 있지만, 가을철 태풍은 태풍 자체의 강도와 더불어 북쪽의 찬 공기와 만나 더 많은 비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가을철 태풍은 늦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발생하는데, 이 시기에도 여전히 해수면 온도가 높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대기 불안정성이 더 높아지고, 북쪽으로의 기압 차이로 인해 태풍의 경로와 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을에는 해수면 온도는 여전히 높지만, 북쪽으로부터 찬 공기가 내려오면서 강력한 대기 불안정해져 태풍의 강도가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가을철 태풍은 더 발달한 상태에서 우리나라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 종종 여름 태풍보다 더 강력하게 느껴지죠. 실제로 가을에 발생하는 태풍 중 대다수는 슈퍼태풍이 되기도 합니다! 가을이 되면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태풍이 북상할 수 있는 경로가 더 넓어져 태풍이 더 북쪽으로 이동하여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지요. 가을철엔 편서풍과 제트기류의 영향으로 태풍이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가을철 태풍은 여름철 태풍에 비해 더 강한 바람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바람에 의한 피해가 크게 될 수 있습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선은 어디까지 날라갈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는 공기 저항이 없기 때문에, 일단 추진력에 의해 가속된 우주선은 연료 없이도 계속해서 관성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뉴턴의 제1법칙인 관성의 법칙때문입니다. 이 법칙에 따라 우주선은 속도를 유지하며 계속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우주선이 추진력을 갖기 위해서 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태양까지는 일단 매우 멀리 덜어져있기에 도달하는데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며(1억 5천만km) 태양의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가까이 다가가면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강한 중력을 이기는 연료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태양은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연룔사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파커 태양 탐사선이 태양에 가까이 있는 우주선 중 하나며 우주선이 먼 거리를 여행할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연료의 한계입니다. 우주선은 초기에는 로켓 추진으로 속도를 내지만, 이후에는 관성에 의존해 우주를 이동하게 됩니다. 하지만 목적지에 도달하거나 궤도 변경, 감속을 위해서는 많은 연료를 가져야 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온 추진기 같은 효율적인 추진 시스템이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지요~!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