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식초는 왜 거미를 죽이는 건가????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식초는 아세트산을 가지고 있기에(5%의 아세트산과 95%의 물로 구성)거미에게 직접적으로 닿으면 거미의 외골격을 손상시키게 합니다! 거미는 외골격이 손상되면 체내의 수분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내부 장기에 손상을 입혀 치명적이게 하게 되는것이지요! 아세트산은 거미의 체내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키는 탈수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거미를 죽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거미줄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된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단백질을 변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거미줄이 약해지고 녹아내릴 수 있습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의 환경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의 대부분은 우주 배경복사로 불리는 미세한 복사 에너지를 가지게 하며 빅뱅이후 남은 에너지가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된것이며 현재는 영하270.45도 정도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절대영도라고 불리우며 매우 차가운 온도이죠~ 우주공간이 완전히 진공에 가까운 상태이기 때문에 열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극도로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진공 상태에서는 열전도와 대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는 열이 물체에서 물체로 이동하는 주요 방식으로 열전도는 물질을 통해 열이 전달되는 과정이며, 대류는 액체나 기체가 이동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과정입니다. 진공 상태에서는 이들 과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열이 물질을 통해 전파되지 않게 합니다~ 열복사는 진공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유일한 열 전달 방식으로 열복사는 물체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전자기파(주로 적외선) 형태로 방출하는 과정이죠. 우주의 차가운 온도에서도, 만약 어떤 물체가 태양 등 열원이 있는 곳에 노출되면, 열복사를 통해 그 물체가 가열될 수 있습니다. 우주선 밖으로 나가면(즉, 우주 공간으로 진출하면) 보호 장치가 없을 경우 인간의 몸은 복사를 통해 체온을 빠르게 잃게 되어 극도로 낮은 온도에서 생명체가 보호 장치 없이 살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국에서 태양이 7개 동시에 뜨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햇무리 현상이 관측된것을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당! 태양 빛이 대기 중의 얼음 결정에 의해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빛 무리가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빛 무리나 태양 주변의 밝은 점들이 여러 개의 태양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죠. 태양 무리는 하늘에 떠 있는 얇은 상층 구름(특히 권운) 내에 있는 육각형 모양의 얼음 결정에 의해 발생하며 태양 빛이 이 결정들에 의해 굴절되면서 특정 각도에서 태양의 이미지가 여러 개로 분산되어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것이 극단적인 형태로 보이게 되었을것으로 예상되며 태양이 특정한 조건을 갖추면서 7개로 나뉘어 보이게 되었을것으로 보입니당!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20년전보다 밤하늘에 별이 잘 안보이는거 같은데 왜그런거죠?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시간이 흐르면서 도시화가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빛의 공해와 대기오염 현상때문에 그렇습니다! 현대에는 인공조명이 밤하늘을 밝히는 광공해가 많이 나타나게 되었죠. 도시와 주변 지역의 인공조명이 점점 밝아지면서, 하늘이 자연적으로 어두워지는 것을 방해하여 밤하늘의 별들이 희미해지거나 아예 보이지 않게 됩니다. 20년 전에는 지금보다 인공조명이 적었기 때문에 별이 더 잘 보였을 것이며 오늘날에는 거리의 가로등, 건물의 조명, 자동차 불빛 등 다양한 인공조명이 대기 중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여 밤하늘을 밝게 만들고, 이로 인해 별을 관측하기 어려워집니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미세먼지, 연기, 스모그 등 다양한 입자들로 인해 하늘이 뿌옇게 보이게 만들어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여 별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봄철에는 특히 미세먼지와 황사의 영향으로 하늘이 뿌옇게 되며, 별이 잘 보이지 않게 되며 최근 몇 년 동안 대기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별을 관측하기 어려운 날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하여 간접적으로 대기의 흐름과 날씨 패턴이 변하면서, 하늘이 흐려지거나 대기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더 많아져 별 관측을 힘들게 하기도 하지요!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주 머나먼 행성의 온도를 측정할때는 어떤 방법으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아주 먼 행성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주로 그 행성이 방출하거나 반사하는 빛을 분석하여 행성이나 별이 내뿜는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색깔등을 구별하고 이를 통해 온도를 측정해 내게 되지요~ 이는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스펙트럼에서 특정 파장의 빛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을 통해 물체의 표면 온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빈의 법칙(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방출하는 빛의 파장은 짧아짐)에 적용하게 되고 뜨거운 별은 주로 푸른색이나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고, 차가운 별은 적색이나 적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합니다. 행성의 경우,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반사된 빛이나 자체적으로 방출하는 열 복사를 측정하여 온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모든 물체는 온도에 따라 특정 파장에서 열 복사(적외선)를 방출하게 됩니다. 먼 행성의 경우, 적외선 망원경을 사용하여 그 행성이 방출하는 적외선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지요~ 행성이 방출하는 적외선의 강도를 측정하면, 해당 행성의 평균 표면 온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외계 행성의 대기나 표면이 방출하는 열 복사를 관측하여 그 행성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행성의 반사율(알베도)과 행성 주위 별의 밝기(광도)를 통해 행성의 온도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반사된 빛의 양과 그 파장 분포를 분석하면, 행성 표면이나 대기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7117127137147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