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광을 이용한 우주범선이 발사된다고하는데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으로부터 가까울수록 태양광의 압력이 강해져 더 큰 가속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태양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태양광의 압력은 약해지기 때문에 가속이 줄어듭니다. 범선의 면적이 클수록, 그리고 반사율이 높을수록 태양광의 압력을 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주범선은 초기 속도는 낮지만, 태양광의 지속적인 압력을 받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가속됩니다. 우주범선의 속도는 초기에는 매우 느리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가속됩니다. 수년 혹은 수십 년에 걸쳐 우주범선은 초속 수백 km 이상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우주범선들의 경우, 이론적으로 20년 이내에 빛의 속도의 약 10%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습니다. 이는 광속의 10%인 약 30,000 km/s 정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육지보다는 바닷가에 가게되었을때 바람이 많이 불던데 육지에 비해 바닷가에서 바람이 많이 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낮 동안에는 태양이 육지와 바다를 동시에 가열하지만, 육지는 바다보다 더 빨리 데워지고 더 빨리 식게 되지요. 반대로 바다는 육지보다 천천히 데워지고 천천히 식습니다. 이러한 온도 차이로 인해, 낮 동안 육지의 온도가 바다보다 더 높아지게 되는것이지용! 육지가 더 따뜻해지면, 공기가 팽창하여 기압이 낮아집니다. 반면에, 바다 위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차가워 기압이 높게되어 기압이 높은 바다에서 기압이 낮은 육지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바람이 발생합니다. 이 바람이 바로 해풍입니다. 육지가 더 빨리 데워짐에 따라 공기가 상승하고, 이 상승한 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바다에서 차가운 공기가 육지로 들어오면서 바람이 발생합니다. 바람의 강도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더 강해집니다. 바다와 육지의 열 용량 차이 때문에, 바람이 바닷가에서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바다의 큰 열 용량이 바람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며, 육지보다 더 일관된 바람 패턴을 형성하게 됩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새로공개된 3d우주지도를 볼수있는곳은 없나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최근에 공개된 3D 우주지도는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까지 제작된 가장 상세하고 방대한 3D 우주지도입니다. 이 지도는 20년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우주의 약 110억 년에 걸친 확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일반인도 이 3D 우주지도를 온라인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 지도는 다양한 과학 웹사이트에서 인터랙티브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누구나 접속하여 우주의 구조를 볼수 있으며 In-The-Sky.org와 같은 사이트에서 이런 자료들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서 우주까지 어떻게 통신이 가능한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통신은 주로 전파를 이용합니다! 전파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라디오, 텔레비전, 무선통신 등에서 사용됩니다. 전파는 지구의 대기와 우주 공간을 통해 움직이게 되며 전파는 빛의 속도로 이동하며, 방해물 없이 넓은 범위에 걸쳐 전달될 수 있어 우주와 지구 간의 통신에 매우 적합하죠~ 우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대역은 지구 대기에서의 흡수나 반사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신호가 지구에서 우주로 또는 우주에서 지구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는 대형 안테나(NASA의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 등)를 사용해 우주선이나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이 안테나는 높은 출력의 송신기를 통해 신호를 우주로 보내며, 우주선이나 위성에 있는 수신 장치가 이 신호를 받아 처리합니다! 지구와 우주 간의 통신이 어려운 경우, 중간에 위치한 통신 위성을 사용해 신호를 중계할 수 있으며 중계 위성은 신호를 받아 지구나 우주선으로 다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합니다! 먼 거리에서 통신을 할 때는 신호가 약해지거나 왜곡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향 감지 기술과 오류 수정 코딩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신호를 정확하게 재구성하거나, 손실된 데이터를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세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블랙홀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보통 매우 질량이 큰 별들이 진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형성되며 태양보다 최소 8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며, 이 에너지가 별을 지탱하는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별의 핵연료가 고갈되면, 핵융합 반응이 멈추고, 더 이상 내부에서 별을 지탱할 압력이 없어지고 별의 중심부가 급격하게 붕괴됩니다. 중심부가 붕괴할 때, 외부층이 강력한 폭발(초신성)로 날아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매우 강한 에너지가 방출되죵~ 초신성 폭발 후 남는 중심부는 압축되며, 남은 질량이 충분히 크다면 블랙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초신성 폭발 후 남은 중심부의 질량이 충분히 크면(태양의 약 3배 이상의 질량), 그 물질은 중력에 의해 계속해서 수축하며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면 결국 중력붕괴가 일어나며, 모든 질량이 한 점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이 점을 특이점이라고 부르며, 이 특이점 주변의 영역이 바로 블랙홀이라고 하는 것 이지요~ 블랙홀은 경계면인 사건의 지평선을 가지게 되고 이 경계를 넘어가면 빛조차 빠져나올수 없을정도로 중력을 강하게 받게되어 어떠한 물체도 다시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 입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ㅅ브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