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가 온 뒤 무지개가 뜨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물방울에 의해 굴절되고 반사되며 발생합니다. 따라서 햇빛이 비친 상태에서 무지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때 공기 중에 물방울이 충분히 있어야하며 빛을 굴절, 반사, 그리고 분산시켜 무지개를 형성하게 하지요. 보통 비가 갓 내린 뒤 공기 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 이러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개가 형성되려면 태양이 하늘에서 낮은 각도로 위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태양이 지평선에서 약 42도 이하의 각도에 있을 때 무지개가 잘 보입니다. 아침이나 저녁 무렵에 무지개가 자주 보이는 이유도 이 때문이지요~무지개는 태양을 등지고 서 있을 때 반대편 하늘에 형성되며 비가 내린 후 구름이 조금 걷히고 햇빛이 비출 때 무지개를 관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Q. 블랙홀은 처음에 누가 발견했으며, 어떻게 모든걸 빨아들이는지 알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수학적으로 예측하였으며 1916년, 독일의 물리학자 칼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사용해 최초로 블랙홀(슈바르츠실트 반지름으로 알려진)을 수학적으로 정의하였고 특정 조건 하에서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왜곡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습니다. 1967년, 미국의 물리학자 존 휠러가 블랙홀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고 이때부터 블랙홀은 과학적으로 구체화되고 널리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블랙홀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것은 중력 때문이며 매우 큰 질량이 매우 작은 부피에 압축되어 있는 천체입니다. 이로 인해 중력이 극도로 강진 사건의 지평선이라는 경계를 형성하고 빛조차도 탈출할수 없게 되는 것 이지용!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계란이 물속 깊이 들어가면 깨질까요?
계란이 깊은 물속에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계란의 독특한 구조 때문이죠~ 계란의 곡선형 표면은 아치형 구조처럼 작용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켜 특정 지점에서도 압력이 집중되지 않고 깨지게 합니다! 물속 깊이 들어가면 압력이 모든 방향에서 균등하게 작용합니다. 계란의 표면이 매끈하고 곡선으로 되어 있어, 이 압력을 잘 견딜 수 있게 됩니다. 실험에 따르면, 계란은 매우 높은 수압에서도 놀라운 저항성을 보입니다. 수심 6000미터에서는 수압이 약 600배 증가하지만, 계란의 껍질은 이 수압을 충분히 견뎌 냈다고 하지요~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ㅓ용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사막이라는 것은 자연에 어떤 역할을 하며 혹시 없앨 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사막은 건조하고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생명체가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적응력이 뛰어난 식물, 동물, 곤충 등이 살고 있으며 이들 생물은 고유한 생태적 역할을 하며, 다른 환경에서는 찾기 어려운 특수한 생존 전략을 가지게 되지요~ 사막은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막 지역은 대기 순환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온도 조절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사막의 넓은 열기는 주변 지역의 기후를 조절하며, 대기 중의 열 순환에 영향을 미치게 합니다! 사막은 침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람과 물에 의해 침식된 물질은 사막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지구의 지질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사막이 형성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후 조건인데 주로 사막은 적도 근교에 생기게 되지요~ 적도 근처의 고압대에서 대기 순환 패턴으로 인하여 강수량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건조한 환경을 유지하게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단순히 기술이나 인력으로 바꾸기 어려운 자연 현상입니다. 무엇보다 녹지화 하기 위해서 굉장히 비싼 비용이 들게되고 그에 따른 결과물은 크게 영향을 안받기에 쉽게 바꾸지 않게 되는 것 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