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블랙홀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소리는 매질(공기, 물, 고체 등)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으로서 진동을 통해 매질의 입자들이 에너지를 주고받으며 전파됩니다. 따라서 진공 상태인 우주에서는 매질이 없기 때문에 소리 자체가 전달될 수 없습니다. 즉, 우주 공간에서는 원래 소리가 들리지 않으며, 소리 파동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블랙홀 주변의 공간에서는 소리가 전파될 수 있는 매질이 거의 없게 되며 소리 자체가 블랙홀에 의해 흡수되거나 전달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실제로, 소리 파동이 진공 상태에서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블랙홀은 소리와 무관한 현상입니다. 블랙홀 주변의 강착 원반이나 플라즈마 등 물질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이 물질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상호작용할 때 소리와 비슷한 압력파가 생길 수 있으나 이러한 파동도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 더 이상 외부로 전파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은하와 은하사이는 보이드공간인가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은하와 은하 사이는 일반적으로 보이드라고 하며 은하들 사이의 거대한 빈공간을 통틀어서 보이드라고 합니다~ 수백만 광년의 크기를 가지며, 은하가 거의 없는 매우 희박한 밀도의 공간입니다. 그러나 완전히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니고, 소수의 은하나 희미한 물질들이 존재하기도 하지용~ 은하들 사이에는 매우 희박한 가스, 먼지, 그리고 암흑 물질 등이 퍼져 있으며 은하 자체에 비해 밀도가 매우 낮아서 대부분의 경우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공간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관측에 따르면 은하들 사이에도 은하 간의 상호작용이나 중력적 영향에 의해 물질이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용! 날이 덥습니당 몸 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의 뜨거운 열기에 지구가 이렇게 더운데 우주로 나가면 태양과 더 가까워지니 더 많은 열기를 느끼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느끼는 태양의 열은 주로 복사를 통해 전달되며 태양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지구에 도달하고, 이 빛이 지구 대기와 표면에서 흡수되며 열로 바뀌게 되고 지구의 대기가 이 열을 잡아두어 우리가 더운 것을 느끼게 됩니다. 우주에서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대류나 전도와 같은 열전달 방식이 작용하지 않기에 우주에서의 온도는 햇빛이 직접 닿는 부분은 매우 뜨겁지만, 그늘진 부분은 매우 차가운 극단적인 온도 차이를 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태양에 더 가까워지면,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가 강해지기 때문에, 햇빛을 직접 받는 물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지만 우주 공간 자체는 진공에 가깝기에 열을 보존하거나 전달할 매개체가 없고 이에 햇빛을 직접 받는 물체는 매우 뜨겁지만, 그늘진 부분은 매우 추운 상태가 되게 됩니다. 따라서 우주로 나가서 태양에 가까워진다해서 사ㅏㄻ이 느끼는 열기가 지구에서 느끼는 방식같이 증가하지는 않게 되며 우주에서 태양광을 직접 받는 부분은 뜨겁고 그렇지 않으면 차갑게 느껴질 것 입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현재 우리 인류의 기술로 모든 바다를 다 탐사할 수 없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는 어느정도 수심까지 탐사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현재의 기술로 우리는 태평양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딥이 가장 깊은 탐험을 이룩한 곳입니다~ 이곳은 약 11000m이며 제임스 카메론감독이 설계한 잠수정으로 이곳에 도달하였지용!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인잠수정은 대게 6000m정도 들어가 탐사를 진행하며 깊은 해저 탐사는 여전히 기술적으로, 경제적으로, 그리고 안전 측면에서 위험합니당. 압력, 온도, 에너지 공급 문제, 원격 조작의 한계 등을 극복하여야 하는데 이것들이 굉장히 어려운 것 이지요! 이에 바다의 깊은 곳에 대한 탐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 해저의 약 80%가 아직도 완전히 탐사되지 않은 상태라고 합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