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장마철에 강릉에는 비가 많이 오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강릉은 저수지의 저수율이 낮아 농업용수를 제한 급수를 하는 이유는 장마철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았거나 강수가 잘 오지 않았기 때문이지용! 장마철 동안 비가 전국적으로 내리지만, 강수량이 지역별로 크게 차이가 나며 어떤 지역에서는 비가 많이 내렸지만, 강릉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가 내렸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별 강수량의 불균형이 저수지의 저수율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것이지요! 장마철 동안 강릉 지역에 예상보다 적은 강수량이 기록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후 변화나 대기 순환의 변화로 인해 장마철의 강수 패턴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름철에는 농작물의 생장이 활발해지면서 농업용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만약 장마철 동안 비가 충분히 내리지 않거나, 장마 이후에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면 저수지의 물이 빠르게 소모될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변에서 발생하는 이안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해변으로 밀려오는 파도는 해안 근처에 많은 물을 축적하고, 물이 해변 쪽으로 밀려와야 하는데, 물이 다시 바다로 돌아가야 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점에서 강하게 집중되면 보통 해저 지형의 영향을 받아 좁은 통로를 통해 바다로 빠져나갑니다. 해안선의 곡선 모양, 모래톱의 위치, 그리고 해저 지형의 변화 등으로 인해 특정 지점에 물이 모여 바다 쪽으로 빠르게 흐르게 되며 바다 쪽으로 강하게 흘러가는 물의 흐름이 형성하는것을 가지고 이안류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속 0.8~2.4m/s의 속도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시속 3m/s 이상까지도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이 수영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휩쓸리면 빠져나오기 어렵게 되는것이지용!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직선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휩쓸리면 빠르게 해안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해변에서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우며 파도가 잔잔해보여도 이안류를 형성할수 있기에 굉장히 위험하게 되는 것이지용!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
지구과학·천문우주
Q. 너울성 파도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먼바다에서 발생한 폭풍이나 강한 바람은 해수면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파도를 형성하여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멀리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이때 발생한 파도는 해양 표면을 따라 멀리까지 전파되며 바람이 강할수록 더 큰 파도가 발생하게 되지용! 이러한 파도는 천천히 해안으로 이동해 너울성 파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먼바다에서 발생한 여러 파도가 이동하면서 합쳐져 더 큰 파도가 되어 서로 간섭하며, 에너지가 합쳐질 때 더 큰 파도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파도가 해안에 도달할 때 너울성 파도가 됩니다. 너울성 파도는 일반적인 파도보다 파장이 길고 주기가 길며 깊은 바다에서부터 해안까지 에너지를 잃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해안 근처에서 갑자기 큰 파도가 될 수 있습니다. 너울성 파도는 주기가 불규칙한 파도일 수 있으며, 이는 다른 파도와 달리 예측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며 해안에서 고요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갑자기 큰 너울성 파도가 밀려올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유독 여름에 적란운이 많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여름철에는 태양의 고도와 일사량이 높아져 지표면이 강하게 가열되고, 지표 근처의 공기가 데워지면서 상승하게 되지요~! 뜨거운 공기는 주변의 찬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승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여름철에 지표면이 뜨거워지면, 강한 상승 기류가 형성되게 되며 이 상승 기류는 공기를 높은 고도로 끌어올리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져 공기가 냉각되는것이죠!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지면서 대기의 수증기 함량도 증가하고 따뜻한 공기는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공기가 매우 습해집니다. 상승한 공기가 고도에서 냉각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형성되어 여름철의 높은 습도는 상승 기류가 구름을 형성하기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합니다. 여름에는 지표면의 온도와 고도에 따른 기온 변화가 크게 나나게 되어 지면이 빠르게 가열되면서 하층 공기는 매우 뜨거워지고, 상층의 찬 공기와 큰 온도차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온도차는 대기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강한 상승 기류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불안정한 대기 조건에서 상승 기류는 매우 강하게 형성되며, 공기가 고도 높은 곳까지 상승하면서 적란운이 형성되며 특히 대기의 불안정성이 클 때 더 쉽게 형성되며, 여름철이 이러한 조건에 가장 잘 맞습니다. 따라서 높은 기온이나 강한 상승기류가 생기거나 높은 습도 그리고 대기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닷물이 짜고 호수나강물이 안짠이유는 뭣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물 순환 과정에서 빗물이 지표면에 떨어지면, 빗물은 강과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게 되지요~ 빗물은 암석과 토양을 침식하면서 염화나트륨과 다른 미네랄을 녹여 바다로 운반합니다. 이 미네랄들이 바다에 모여 농축되면서 바닷물이 짜게 됩니다. 즉 염류를 같이 녹여서 움직이게 하는 것이지요~! 바다에서 물이 증발할 때, 소금은 물에 남아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닷물의 소금 농도는 점점 더 높이고 수억 년 동안 반복되면서, 바닷물은 현재의 짠 맛을 내게 합니다! 이와동시의 바다의 해류 순환으로 인해 소금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퍼짐녀서 바닷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높게 유지시키게 된것이였지요! 강물과 호수는 물이 계속해서 흐르거나 증발하기 때문에, 소금이 농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바다로 흘러가면서 소금을 바다로 운반합니다. 따라서 강물 자체의 소금 농도는 매우 낮게 되는것이지요~! 강과 호수는 일반적으로 바다와 연결되어 있거나 지하수로 통해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물이 순환하며 소금이 축적되지 않고 호수와 강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소금이 농축되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소금 농도가 낮게 유지되게 됩니당! 날이 덥네용 ㅠ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