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거북선은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북선을 처음 만든 사람은 나대용(1556~1612)이다. 나대용은 지금의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에서 태어났다. 이곳에서 10여 년간 거북선에 대한 설계와 제작과정을 연구했다. 거북선을 직접 만들고, 마을 앞 방죽골에서 시험까지 끝냈다.나대용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591년 이순신을 찾아가 거북선 제작을 건의했다. 나대용의 건의를 받아들인 이순신이 거북선 제작을 지휘하고, 임진왜란 하루 전에 시험운항을 마쳤다.
철학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조선 태조 이성계와 아들 태종 이방원이 사이가 나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건국 후 개국공신 중 하나였던 이방원은 왕위승계 과정에서 철저히 무시 됐고 아무것도 한 것 없는 이복동생이 세자가 되자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켰고 이방번과 이방석 두 이복형제를 죽이고 이성계가 존경했던 인물인 정도전마저도 죽였다.이 이후로 이방원이랑 이성계는 사이가 급속도로 안좋아지기 시작했다.
역사
2023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임진왜란당시 의병장은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시기 활약했던 의병장들은 곽재우(郭再祐)·고경명(高敬命)·조헌(趙憲)·김천일(金千鎰)·김면(金沔)·정인홍(鄭仁弘)·정문부(鄭文孚)·이정암(李廷目)·우성전(禹性傳)·권응수(權應銖)·변사정(邊士貞)·양산숙(梁山璹)·최경회(崔慶會)·김덕령(金德齡)·유팽로(柳彭老)·유종개(柳宗介)·이대기(李大期)·제말(諸沫)·홍계남(洪季男)·손인갑(孫仁甲)·조종도(趙宗道)·곽준(郭說)·정세아(鄭世雅)·이봉(李逢)·임계영(任啓英)·고종후(高從厚)·박춘무(朴春茂)·김해(金垓)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는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다시 벼슬에 들어간 사람도 있으나, 적과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의병장도 있었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장수했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가장 오래 살았던 왕은 영조로 83세에 승하했다. 영조의 건강관리 비법은 ‘소식’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측한다. 영조는 기존 하루에 5번 올리던 수라를 3번으로 줄이고, 규칙적인 식사를 즐겼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궁예는 실제로 왕족출신이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예는 신라 시대 왕가 서족 출신의 승려이자 태봉의 군주이다. 그는 신라 헌안왕 또는 경문왕과 후궁 사이에 태어난 서자였다. 그의 본래 속세 성은 김씨, 본관은 경주, 불교 승려로서의 법명은 선종이다. 918년 왕건에게 축출되었으므로 시호는 없다.
음악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전기 에너지도 무게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휴대폰 축전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양극(+)과 음극(-)에 전하들이 잔뜩 모여 있다고 해도 질량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즉, 전자의 숫자는 변하지 않는다는 말이죠. 이로 인해 질량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론 충전된 축전지는 양쪽 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으로 인해 전기에너지가 더 크지만 전기에너지는 질량과는 무관합니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보부상들은 어떠한 상인들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부상은 부보상(負褓商)이라고도 하는데, 대개 하루에 왕복할 수 있는 거리를 범위로 형성되어 있는 시장을 돌면서 각 지방의 물품 교환을 촉진하였다. 보부상은 시장을 돌아다니는 일반 장돌뱅이 가운데에서 자신들의 조직을 군현이나 비변사(備邊司) 등에 공인받고 독점권을 행사하던 사람들이었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금관가야 왜 금관이라고 불리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금관가야는 서기 전후부터 서기 532년까지 존속하던 전기 가야의 대표적인 나라인 김해의 가락국을 일반적으로 부르던 호칭이다. 김해의 가야 세력을 가리키는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고려시대에 비롯된 조어이고 가야시대에는 ‘대가락(大駕洛)’이나, ‘가락(駕洛)’으로 불리었다. 현재 ‘금관가야’라는 호칭이 널리 통용되고 있는데, 특히 고고학계에서는 변한 소국 단계의 '구야국'에서 한층 더 발전한 소국연맹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일본서기에서는 '가락국은 수나라(須那羅)'라고 쓰고 있는데 현대 우리말로는 '쇠나라'로 읽힌다. 이는 왜(倭)와의 교역에서 가야의 주요 수출품이 쇠(鐵), 즉 철기였기 때문이었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금관가야란 이름이나 삼국사기에 기록된 금관국(金官國)이란 이름 역시 모두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지리적으로 인도 차이나라고 하면 어느 나라들을 범하는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차이나반도에 있는 나라들은 라오스, 미얀마, 태국,베트남, 캄보디아 입니다.
역사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오늘 날 국제연합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 중인데요 국제연합은 언제 창설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제연합의 전신은 국제연맹으로, 1920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연합국을 주축으로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고 경제, 사회적 국제협력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