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퓰리쳐상은 어떤 계기로 만들어지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널리즘의 적인 황색언론을 주도했던 인물인 퓰리처는 황색언론 경쟁에서 퓰리처의 뉴욕 월드사가 패배하고, 퓰리처 본인도 실명하는 등 건강이 크게 악화되고 나서 깨달음을 얻어 후배들 중 참 언론인을 위해 제정한 상이 퓰리처상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심했던 산사태 사고는 어떤 사고 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0년 12월 16일 중국 하이위안 에 지진으로 인해 50,000건 이상의 산사태를 발생했다. 이로인해 하이위안의 농촌 지역은 인구의 50% 이상이 사망하는 등 재앙의 직격탄을 맞았다. 총 270,000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재해로 목숨을 잃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상 얼음을 최초로 생산하여 사용했던 국가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 나라는 바로 영국입니다.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컬런이 기화원리를 응용해 최초의 얼음 만드는 기술을 발명하였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피카소의 대표적인 작품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파블로 피카소의 주요 작품으로는 기타 치는 노인 파이프를 든 소년 거트루드 스타인의 초상 아비뇽의 처녀들 거울 앞 소녀 게르니카 우는 여인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유신 장군이 말목을 잘랐다는 일화는유명한데 어떤 사료에 기록된일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유신의 말목을 자른 일화는 고려시대의 문인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에 실려 있는 이야기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엉덩이가 찢어질 정도로 가난했다' 라는 말이 왜 나오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엔 먹을 것이 없으면 나무껍질이랑 풀을 뜯어먹다보니 변비에 걸려서 엉덩이에 있는 그 부분이 찢어진다고 표현한 것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마트에서 간식거리로 샀는데 만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쥬"의 어원은 중국어 "만토우(饅頭)"이다. 속에 뭐가 들어 있는 찐빵을 "만토우"라고 하는데, 이 음식이 우리 나라에 들어오면서 "만두"라고 불리게 되고, 일본을 경유해서 온 것은 "만쥬"라고 부른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연산군에 어머니는 엄청난 미인이고 성종에게 사랑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왜 폐비가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폐비 윤씨는 성종에게 다소 불경한 말과 원망 섞인 말을 하였는데, 성종을 볼 때 낯빛을 바꾸고 '발자취를 없애 버리겠다'라는 말을 하였으며,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거나 반신불수로 만드는 비법을 적은 책을 상자속에 숨겨두었다가 대비에게 발각되었다. 또한 독약인 비상을 묻힌 곶감을 가지고 있다가 들켰으며, 나무패의 말뚝을 박는 등의 주술행위를 저질렀다.이러한 과격한 언행으로 윤씨는 폐출되어 사가로 내쫓겼고, 끝내 사약을 받아 숨졌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조임금이 아주 장수한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영조임금이 장수한 비결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조는 자신이 병이 없는 것은 평생 거친 음식을 먹고 얇은 옷으로 생활했기 때문이라 하였다. 검소한 식단과 얇은 옷차림이 건강에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스스로 밝힌 것이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추락하는것과낙하하는것의 차이점은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락은 떨어 질 ‘墜’, 떨어 질 ‘落’을 사용한다. 반면 낙하는 떨어 질 ‘落’, 아래 ‘下’자를 쓴다. 두 용어 모두 아래도 떨어짐을 의미하지만 형태에 따라 쓰임새는 분명히 다르다. 추락은 통상적으로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예상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떨어짐을 뜻하기도 한다. “높은 곳에서 사람이 추락했다”라는 표현과 “사람이 낙하되었다”라는 표현이 엄연히 다르다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겠다. 낙하는 ‘물체’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떨어질 것을 예상 또는 설정한 상태일 때 쓴다. “높은 곳에서 낙하되는 각재에 사람이 다쳤다”라는 표현과 “추락하는 각재에 상해를 당했다”라는 표현을 비교해 보면 이해가 쉽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