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내시는 누가 지원해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시는 상민 중에서 선발하며 지원자 중에서 선발하도록 되어 있다. 내시가 되기 위해서 거세를 하는 곳에서 내시가 될 것이냐고 3회 질문을 하게 되는데 그 때마다 자신있게 "내시가 되겠습니다."라고 말해야 거세를 해준다. 만약 일말의 망설임을 보인다면 거세를 해주지 않는다.중국의 경우 고환과 음경으로 성기 전체를 제거하지만 조선은 고환만을 제거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내시의 생식불가여부를 검사할 때 고환 유무로 판별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입궁할 때 항아리를 가져가는데, 항아리에는 자신의 이름을 붙이고 그 속에 자신의 고환을 보관하며 이 항아리는 내시감에게 보관한다. 내시가 죽을 경우 해당 내시의 항아리에서 고환을 꺼내 봉합한 후 장례를 치르게 되어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녕하세요,, 방송이나 뉴스에서 제3세계국가 란 말을 가끔하시는데.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3세계는 미국과 소련이 냉전으로 대립하던 시절, 제1세계(대체로 미국과 같은 편)와 제2세계(대체로 소련과 같은 편)의 패권 싸움에 개입하지 않은 모든 국가를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냉전 시절에는 스위스를 제외한 서구 자본주의 국가(제1세계)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을 제외한 동구 공산국가(제2세계)를 제외한 중남미, 아시아(터키, 일본, 이스라엘, 한국, 필리핀, 태국, 대만 제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제외)를 모두 합쳐 제3세계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에는 양치를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소금으로 이를 닦고 더운 물로 양치를 하면 이에 남은 술독이 제거된다’는 구절이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백성들은 소금을 입에 넣고 씹거나 손가락으로 구석구석 닦고 깊숙이 박힌 음식 찌꺼기는 이쑤시개로 빼냈다.이쑤시개는 주로 버드나무 가지를 잘라 만들었는데, 버드나무 가지를 뜻하는 ‘양지(楊枝)’를 따 양지질이라고 불렀다. 이후 양지질은 양치질이라는 이름으로 굳어졌다.조선의 임금과 양반들은 나무를 한입에 물기 좋게 잘라 아침마다 씹었는데, 적당히 단단한 것을 씹으면 잇몸이 튼튼해지는 효과가 있다. 미백효과가 있는 상추를 씹어 오랫동안 입안에 물고 있기도 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나라의 기틀을 만든 황제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황제는 명태조 홍무제의 4남인 영락제입니다. 영락제는 중국 황제로는 역사상 최초로 다섯 번에 걸친 막북 친정을 통해 몽골 족 등과의 전투를 지휘했습니다. 이로인해 명은 헤이룽 강 하류까지 진출하여 요동도사를 설치하고, 여진족은 위소에 편입시켰으며 누르칸도사까지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일본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패권 확립, 베트남의 정벌, 티베트의 회유와 티무르 제국과의 전쟁 준비,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문물 교류 등의 팽창정책을 추진했습니다. 내정에서는 홍무제의 방침을 거의 대부분 계승하면서 황권을 강화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 역사서에 신라에 거인국이 있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인(長人)국은 신라의 동쪽에 존재했다고 기록된 국가이다. 신당서나 태평광기의 신라전에 간략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유양잡조라는 기담집에도 소개되었다. 장인국에는 2m가 넘는 키에 톱과 같은 손톱을 가진 존재로 검은 털로 몸이 뒤덮인 기이한 이들이 존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신당서의 기록을 인용하면서 신당서에는 이런 내용이 있지만 소문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현재 한국 학계에서는 우산국에 대한 전설이 잘못 전달되어 기록된 것으로 보고 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켈란 젤로가 설계한 건축물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켈란젤로가 설계한 건축물들은 성 베드로 대성당, 캄피돌리오 광장, 메디치 성당의 설계와 그에 딸린 조각들, 로렌치아나 도서관,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성당 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캐나다는 어떤 배경 때문에 영어와 불어를 동시에 사용하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67년 영국의 허가를 받아 제정된 헌법은 의회의 공용어는 영어와 프랑스어라고 규정해놓고 있었다. 이에 따라 영어가 자연스럽게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유일한 언어가 되었고, 프랑스어는 퀘벡과 일부 지역에서 통용되는 지역 언어 취급을 받았다. 1982년 피에르 트뤼도 총리 재직 시절 개정된 헌법은 여러 항에 걸쳐 언어에 대해 규정하면서, 영어와 프랑스어는 캐나다 전체에서 동등한 지위의 공용어임을 명확히 하여, 공식적으로 이중언어 국가임을 표명하였다. 프랑스계가 많이 사는 퀘벡 주에서는 예전부터 분리주의 운동이 심해 연방정부의 골칫거리였고, 많은 논란 끝에 헌법에 공용어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게 된 것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 식민지 시절 동인도회사는 현재 어느 위치에 세워진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은 인도의 봄베이(현재 뭄바이), 캘커타(현재의 콜카타) 등을 거점으로 하여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여인도산 직물 생산과 판매를 독점하며 인도를 식민 지배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포에니 전쟁'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에니 전쟁은 B.C. 264~146년, 서지중해의 패권을 둘러싼 로마와 카르타고 간에 일어난 3차례에 걸친 전쟁으로 로마의 스키피오와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활약했던 전쟁으로 유명하며, 로마는 포에니 전쟁의 승리로 서지중해의 패권을 차지하였습니다.포에니란 이름은 로마 인이 페니키아 인을 포에니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필리핀이 스페인의 식민통치를 당한 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65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opez de Legazpi, 1502~1572)가 일단의 군대를 이끌고 현재의 필리핀 땅에 도착하여 본격적으로 식민지를 개척하였고, 당시 스페인의 국왕인 펠리페 2세(Felipe II de Habsburgo, 1527~1598)의 이름을 본 따 '필리핀'이라고 명명하였습니다. 그리고 333년간의 긴 스페인의 식민통치가 이어졌고무장독립운동을 이끈 에밀리오 아기날도(Emilio Aguinaldo, 1869~1964) 장군이 미국-스페인 전쟁이 진행 중이던 1898년 6월 12일에 필리핀의 독립을 선언하고 스스로 혁명정부의 대통령임을 선언하였습니다. 필리핀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독립한 1946년 7월 4일이 아니라 이 날을 독립기념일로 기리고 있습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