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이슬람 경전 코란에는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란은 모하메드가 메카와 메디나 시절 하늘로부터 계시를 받은 말씀이라고 주장하며, 신약성경 만한 부피를 지니고 있다. 코란의 각 장들은 SURA(수라)라고 부르며, 가장 긴 수라를 시작으로 짧은 114수라(6220절)로 구성되어져 있다. 첫 수라는 “Al-Fatihah”로 “알라 외에는 다른 하나님이 없으니, 나는 모하메드가 그의 선지자임을 믿는다”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모슬렘들은 가정에서나 모스크에서나, 정규 혹은 비정규 기도회 즉 매 기도 때마다 이 구절을 암송함으로 기도를 시작한다. 다른 수라들은 그 길이에 따라 순서가 결정되어 졌다. 그것들의 제목들은 이슬람의 주제 혹은 수라에서 중요하게 언급되어지는 것을 따 제목들을 붙였다. 그리고 모든 수라들이 한번의 계시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모슬렘 학자들은 86개의 수라들은 모하메드가 메카에 있을 때 계시 받은 것들이며 28개의 수라들은 그가 메디나로 이주한 후 계시 받은 것으로 계산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할로윈데이 행사는 우리나라와 해외는 많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래 할로윈은 켈트족의 전통 축제 ‘사윈’에서 기원했다. 켈트족은 한 해의 마지막 날, 죽음의 신에게 제의를 올림으로써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았다. 이때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한 사람들이 자신을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꾸미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할로윈 분장의 원형이 됐다고 한다.국내에도 유사한 풍습이 있다. 바로 ‘동지(冬至)’다.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사당에서 고사를 지내고 대문과 집안, 헛간 등에 놓아두거나 뿌리기도 한다. 이로써 집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쫒아낸다고 믿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강감찬 장군의 귀주대첩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고려군이 수공을 사용한 것은 귀주 대첩이 아니라 흥화진, 삼교천 전투에서였습니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비롯한 사서들에선 귀주 대첩 당시 수공을 했다는 기록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런 오해가 생긴 점 중 하나는 "우리 군이 졌는데, 그중 다수가 익사했다."라는 요사의 기록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궁녀들은 생활비를 어떻게 마련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녀들은 보수를 나라에서 받는 대신 생활비는 자기 월봉에서 부단해야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좋아라하다 라는 것이 바른말입니까?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라'는 명령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므로 좋아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어제밤','어젯밤' 어느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리가 덧나는 고유어 계열의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받치기로 한 원칙에 따라 고유어 계열인 ‘어제’와 ‘밤’의 합성어는 '어제빰/어젣빰'으로 소리 나고 ‘어젯밤’으로 적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궁예의 관심법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심법은 궁예가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한 초능력으로, 볼 관(觀), 마음 심(心), 즉 남의 생각을 읽어내는 능력이다. 정확히는 고려사에서는 '미륵관심법'이라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에서는 '신통력'이라 불렀다.궁예는 스스로 이것이 있어서 역심을 품은 사람의 마음을 모두 꿰뚫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것은정적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핑계거리에 불과했다. 왕건도 이 관심법에 휘말린 적이 있었으나, 최응이 반역을 계획했다고 거짓 자수하라고 넌지시 알려준 덕분에 자신이 역심을 품었음을 순순히 인정하였고, 이에 흡족한 궁예가 오히려 정직하다고 하면서 용서했다고 전한다. 만약 여기서 인정하지 않았다면 고려라는 나라가 나오지 못할 수도 있었을지 모른다.물론 궁예에겐 그가 총애하던 신하인 왕건의 목숨을 거둘 생각이 애초부터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궁예는 그 이후 아무렇지 않게 해군 증강 계획을 왕건과 논의하는데, 당시 태봉의 해군은 사실상 송악의 호족이었던 왕건의 사병이었다. 즉, 궁예는 2인자 왕건에게 전적으로 힘을 실어 주는 동시에, 보여주기 식으로나마 적당히 겁을 줘서 대외적으로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것이다. 그 방식이 너무 조악해 시간이 갈수록 더 큰 부작용만 낳았을 뿐이다.정리하자면 궁예의 관심법 운운은 아마도 왕권 강화책의 일환이었던 듯하며, 자신의 왕권에 도전하는 자들에게 한 암묵적 경고의 뜻이라고 추측된다. 다만 다른 이들이 보기에는 그냥 '아 왕이 미쳐가는구나.' 정도로 해석될 수준이었던 게 문제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선덕여왕이 왕이 될수 있었던 이유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에는 진평왕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국인(國人)들이 덕만을 왕으로 세우고 성조황고(聖祖皇姑)라는 칭호를 올렸다고 한다. 그러나 신라 중고기의 왕위가 반드시 왕의 아들로 계승된 것은 아니어서, 여왕 탄생의 이유로는 불충분하다. 같은 사안에 대해서 삼국유사는 ‘성골(聖骨) 남자가 다하여 여왕을 세웠다’고 다른 이유를 전하고 있다. 당시 진평왕의 가계를 살펴보면, 진평왕의 동생인 백반(伯飯)과 국반(國飯)은 이미 사망한 뒤였고, 이들에게도 자식은 국반의 딸인 승만(勝曼, 진덕여왕) 밖에 없었다. 진평왕의 가계에 성골 신분을 가진 남자가 남아있지 않았던 것이다. 때문에 차선책으로 성골 신분으로서 여성인 덕만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체적인 숭유억불정책의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산지로 사찰 강제 이전 및 도시 내 사찰 폐쇄, 불교종파의 강제 통폐합, 사찰의 숫자와 승려의 숫자를 강제로 줄이기, 도성 내 절은 불태우거나 가정집 등으로 전환, 승려들에게 환속을 강요, 과거 시험에서 승과를 폐지, 사찰이 가진 모든 토지와 노비 등을 국유화, 승려의 도성 출입 금지, 승려를 양인이 아닌 천민으로 대우함, 경국대전의 도승조(度僧條)폐지, 국사(國師), 왕사(王師) 폐지 등
역사
역사 이미지
Q.  발해는 어떤 이유로 멸망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의 멸망은 발해사의 가장 큰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이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다. 민족 구성의 취약성, 마지막 황제 대인선의 무능으로 인한 민심 이반설 등이 대표적이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