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옛날 석빙고의 과학적 원리가 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석빙고는 공기의 대류 현상, 열 전달의 차단 등 과학 원리를 적절히 이용한 건축물이다. 이 때문에 별도의 냉각 시설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여름까지 얼음을 보관할 수 있었다.① 천장에는 1~2미터 간격으로 5개의 아치형 홈(움푹 들어간 공간)을 만들어 두었다. 이 홈으로 내부의 더운 공기가 올라가 환기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했다. 이는 찬 공기는 밑으로 가라앉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② 얼음을 보관하려면 물과 습기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물이 빨리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로를 만들었다.③ 얼음과 얼음 사이 틈에는 볏짚이나 갈대를 채워 넣어 더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④ 빗물과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석빙고 외부에 석회와 진흙으로 방수층을 만들었다.⑤ 입구는 겨울철에 찬 공기가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냈다. 그러면 찬 바람이 들어와 내부에 골고루 퍼지면서 자연스럽게 냉각이 이루어졌다. 이때 출입구 옆에 세워 놓은 돌벽은 찬바람이 부딪혀 소용돌이를 치며 빠른 속도로 내부 깊숙이 들어가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⑥ 벽과 천장 틈 사이에는 밀집과 왕겨, 톱밥 등의 단열재를 채우고, 외부에는 흙을 덮고 잔디를 깔아 습기는 물론 햇빛으로 인한 열기를 막았다.출처:한국사사전
Q. 마이크는 어떻게 소리를 크고 멀리 퍼지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이내믹 마이크에서는 소리, 즉 공기의 떨림이 마이크에 도달하면 그 떨림에 맞추어 마이크의 진동판(Diaphragm)이 떨리게 된다. 이로 인해 진동판에 연결된 코일이 같이 떨리게 된다. 그리고 전자기 유도의 원리에 의해 이 떨림에 맞는 전류가 발생한다. 코일이 움직이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코일 이동형 마이크(Moving Coil Microphone)라고 하기도 한다.다이내믹 마이크는 외부 전력이 필요 없으며, 다른 마이크에 비해 온도 변화나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 따라서 널리 사용되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마이크는 대부분 다이내믹 마이크다. 원리상 자석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에 강한 자기장이 있으면 영향을 받는다.출처:오디오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