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구과학 용어 중에 국부은하군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국부은하군은 우리은하가 속해있는 은하군이다. 은하군(group of galaxies)은 수십 또는 수백 개의 은하가 모여있는 은하 집단이다. 국부은하군의 영어 이름은 The Local Group인데, 실제로는 The Local Group of Galaxies를 의미한다. 국부은하군의 주요 구성원은 우리은하, 안드로메다은하(M31), 그리고 삼각형자리은하(M33) 등인데 이들은 모두 나선은하이다. 이 외에도 백여 개의 왜소은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 주위에 몰려 있다. 국부은하군의 반지름은 대략 3백만 광년이며, 질량은 태양 질량의 수조 배이다. 질량의 대부분은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에 몰려 있다. 국부은하군에서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성분은 암흑물질이다. 국부은하군에 있는 은하는 멀리 있는 다른 은하에 비해 매우 자세히 조사할 수 있으므로, 국부은하군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출처:천문학백과
Q.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몇 가지 잠재적인 영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1. 호흡기 질환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며 인체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기 질환 및 염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2. 염증 및 면역반응미세 플라스틱이 인체 내부에 흡수될 경우, 면역계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만성 염증 및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3. 독성 물질 흡착미세 플라스틱 표면은 환경에 존재하는 유해한 화학물질을 흡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면 흡착된 독성 물질이 인체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4. 소화기관 및 장기에 미치는 영향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음식과 음료수를 통해 인체로 들어올 수 있으며, 소화기관 및 다른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5. 호르몬 분비 영향일부 연구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은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생식기계 및 내분비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6. 뇌 건강 영향최근 연구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적하며, 여러 연구를 계속하여 진행 중에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정확한 영향과 그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출처:다양한생활정보
Q. 눈물은 어떤 성분으로 이뤄져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눈물은 눈물샘의 분비액으로 각막이나 결막 표면을 적시고 이물을 씻어낸다. 사람의 눈물성분은 98%가 물이고, 단백질(알부민과 글로불린 혼합액 0.4%), 식염, 탄산나트륨, 인산염, 지방 등이 함유된 등장액이며(pH 7.4), 리소자임이 포함되어 있어 살균작용을 한다. 각성시에는 결막의 건조를 막을 정도로 끊임없이 분비되고 눈의 깜박임에 의해 전면으로 공급된다.출처:생명학대사젠
Q. 빅뱅은 처음에 어떻게 탄생햇는지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빅뱅(Big Bang) 우주론은 오늘날 관측되는 우주의 팽창성을 토대로 추정되는 우주의 기원 가설로, 이를 되짚어 태초에는 모든 에너지가 한 점에 모여 있었으며, 이것이 137억 9900만 년(±210만 년) 전 대폭발을 일으켜 우주를 형성했을 것이라는 이론이다.1920년 러시아의 수학자 프리드만이 최초로 주장한 이래 이를 지지하는 많은 증거가 관측되며 정상우주론을 제치고 정설로서 자리잡았다. 오늘날의 빅뱅 우주론은 초기의 빅뱅 우주론을 토대로 탐사선을 통한 정밀한 관측과 물리학계의 검토를 토대로 보완되었으며, '표준 우주 모형(Standard model)' 또는 '우주상수-차가운 암흑 물질 우주론(Lambda-Cold Dark Matter Cosmology, LCDM)'으로 불린다. 대략 우주 밀도의 70%를 차지하는 우주상수와 25%를 차지하는 '암흑 물질'이 우주의 주된 구성 물질이라는 뜻이다.현재 관측되는 우주 팽창 속도는 1메가파섹당 초속 68~74km다. 즉, 관찰자로부터 1메가파섹(326만 광년) 떨어져있는 물체는 약 초속 70km의 속도로 멀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이다. 관찰자로부터 먼 물체일수록 더 빨리 멀어지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우주 전체가 팽창하므로 당연한 일이며 지구에서 뿐 아니라 어디에서든 마찬가지다. 여기서 "물체가 멀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는 표현을 썼지만 실제로는 공간(우주 자체)이 팽창하는 것이다. 그래서 "멀어지는" 속도가 광속을 넘어설 수도 있다.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보다 빠를 수 없는 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빛이 지나가는 공간 자체가 늘어나며 상대속도가 늘어나는 거라서 물리법칙을 거스르지 않는다.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