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대나무의 번식에 대해 궁금한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대나무는 매우 드물게 씨를 만드는 식물이고 이렇게 만든 씨앗도 잘 발아되지 않습니다.그럼에도 대나무가 절 퍼지는 이유는 대나무가 뿌리를 통해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대나무는 땅 아래 넓게 퍼진 뿌리를 가지고 있고 이 뿌리에서 죽순이 자라나 또 다른 대나무가 됩니다.원래의 개체와 이어져있던 뿌리는 끊기더라도 각각의 대나무가 하나의 개체로써 살아갑니다. 이런 번식 방법 때문에 대나무는 빠르게 번식할 수 있습니다.
Q.  식물의 잎은 보통다 푸른색을 띄고있는이유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이 광합성을 하기위해 세포 안에 엽록체를 가지고 있습니다.엽록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색소는 엽록소인데 이 엽록소에 의해 식물이 녹색을 띠게 됩니다.식물이 주로 푸른색인 이유는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를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이 새 이름이 무엇인가요 너무급해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멧비둘기의 유조(어린새)로 보입니다.멧비둘기는 거의 대부분의 곡식류를 먹을 수 있지만유조의 나이나 상태에 따라 액체상태의 이유식을 먹여줘야 할 수 있습니다.상처가 심하다면 동물병원에 데려가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Q.  나무늘보는 어떻게 생존을 한건 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나무늘보는 나무에 메달려 매우 느리게 움직입니다.종종 다큐멘터리에서 나무에서 배설을 하기위해 내려온 나무늘보가 맹수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보면 저렇게 느린 움직임으로 자연에서 살아남은 것이 신기하게 느껴집니다.하지만 나무늘보의 느림이 오히려 생존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나무늘보는 거의 움직이지 않아 신진대사가 느리며 배설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하기 때문에 나무에서 내려올 일이 잘 없습니다. 육상의 많은 맹수들은 굳이 나무로 올라가서 잡지 않는다면 나무늘보가 배설을 위해 땅으로 내려올 때만 나무늘보를 잡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느리고 적은 움직임으로 인해 나무늘보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우기에는 털사이에 녹조류가 자라서 색상도 녹색으로 보여 더 눈에 띠지 않습니다.그리고 나무늘보는 이 녹조류를 먹어서 영양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이런 이유와 더불어, 나무늘보는 먹을 것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기도 맛이 매우 없다고 합니다.이런 점에서 사람들도 나무늘보를 굳이 사냥할 이유가 없어 나무늘보가 생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Q.  인간의 욕구는 어떻게 그렇게 강력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간에게는 여러가지 욕구가 있습니다.수면욕, 식욕, 배변욕, 갈증(물) 같은 생존의 가징 기본적인 요소인 생리적 욕구와 이것이 만족 될 때 안전의 욕구가 생기며 이런 결핍 욕구가 충족되면 존경, 자아실현 등의 성장욕구가 생겨납니다.생리적 욕구가 여러 욕구들 중 참기 힘든 이유는 이 행위들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식욕이 없다면 먹어야 할 때 먹지 않을 것이고 이는 곧 죽음으로 이어집니다.그래서 어떠한 욕구들 보다 이 욕구들은 우선시되도록 몸이 작용합니다. 이런 생리적 욕구를 일으키는 기작은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고통을, 충족되었을 때 보상을 줍니다.식욕을 예로 든다면 그렐린 같은 식욕조절 호르몬이 분비되기 시작합니다. 그렐린이 많이 분비될수록 허기가 커집니다.이것은 고통이고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음식을 먹게됩니다. 이런 것을 추동감소이론이라고 합니다.몸에 생리적인 결핍이 생겼을 때 몸의 기관들이 결핍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몸에 추동발생(결핍으로 인한 불쾌감을 각성시키는 것)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것을 해결하려고 행동합니다.그리고 이런 결핍이 해소되면 몸에서는 도파민 같은 보상회로가 작동합니다.이것은 우리가 정말 배고플 때, 물이 부족할 때, 수면이 부족할 때 도움이 됩니다.다만 이런 기작은 야식처럼 필수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스트레스는 코티솔 분비를 늘리고 이것도 우리에게 허기같은 결핍을 느끼게 합니다. 또 야식을 먹으면 도파민이 분비됩니다. 야식을 먹는 것은 이런 결핍으로 인한 불쾌감을 쉽게 제거하고 도파민같은 보상을 얻을 수 있게합니다.이런 유혹을 이겨내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여러가지 결핍요소가 있다면 더 참는 것이 어렵습니다.때문에 스트레스로 인한 배고픔, 수분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갈증, 수면부족 등은 이런 야식에 대한 욕구를 조절하는데 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