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바이러스 의약품 ‘와파린’에 비대칭유기촉매기술이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사용됐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화학반응을 하면 거울상이성질체라는 구조의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거울상이성질체란 구성분자와 결합구조가 같지만 거울에 비친것처럼 반대방향으로 만들어진 이성질체 입니다.이들은 밀도와 녹는점 끓는점 등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쉽게 분리해낼 수 없습니다.빛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편광현상에만 차이가 나타납니다.오른손과 왼손의 관계처럼 볼 수 있습니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서로 성질이 다를 수 있습니다.오른손에 끼는 장갑을 왼손에 끼면 맞지 않듯, 약물에서도 특정 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 그것의 거울상이성질체는 전혀 다른 효과를 보입니다.비대칭유기촉매는 데이비드 맥밀런에 의해 개발된 유기촉매입니다.화합물 제작시 거울상이성질체가 만들어지지 않고 원하는 화합물만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촉매입니다.카이랄 촉매는 일련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거울상이성질체가 만들어 질 수 없도록 합니다.와파린도 제조시 거울상 이성질체가 만들어집니다. 화학반응을 진행할 때 각 물질을 정해진 농도로 주입합니다.와파린 합성은4-하이드록시 쿠마린에 알파,베타-불포화된케톤과 반응시킵니다. 이 때 카이랄 촉매와,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반응을 진행합니다.이렇게 하면 반응 결과로 대부 카이랄 와파린 유도체가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