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불가사리의 경우 움직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불가사리는 아랫면에 많은 수의 관족이라는 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그것을 발처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또한 몸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편입니다.아랫면 정가운데에 먹이를 먹을 수 있는 입이 있고 그곳을 이용해 먹이를 잡아먹습니다.불가사리는 육식동물로 딱히 가리는 먹이는 없지만, 멍게, 조개류를 주로 먹으며 작은 어류도 먹을 수 있습니다.힘이 강하기 때문에 조개 껍질을 열수 있고 안에 위액을 흘려넣은 후 흡수합니다.
Q.  이 거미 무슨 거미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집에서 자주 출현하는 거미 중 꼬마거미로 추측됩니다. 사진만으로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가장 비슷한 것은 수컷 말꼬마거미라고 생각됩니다.집 밖에서 안으로 가끔 들어오는 거미이고 먼저 건드리지 않는다면 잘 물지 않습니다.
Q.  에이즈는 어디서 시작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코로나 바이러스가 박쥐에게서 사람에게 옮겨온 바이러스인 것 처럼에이즈의 경우 녹색원숭이라는 종에게서 옮겨온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원래 바이러스는 특정 종에게 특이적으로 감염되지만 돌연변이에 의해 이종간에 전염되기도 합니다.AIDS(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HIV(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라고 합니다.HIV는 잠복기가 긴 바이러스로 잠복기 중에도 전염될 수 있어 HIV의 존재를 모르던 시기에 많이 퍼져나갔습니다.과거에는 치료방법이 없어 HIV에감염될 경우 치료 할 수 없었고,후천적으로 면역력이 사라지는 에이즈 증상이 나타나 사망하게 되었습니다.하지만 현재는 에이즈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현재는 HIV에 감염되어도 약물 개발이 잘 되어 있어서 해당 약물을 지속하여 복용하면 에이즈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그래서 HIV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된다면 빠르게 검사를 진행하고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HIV 보균자의 경우 약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복용하면 일반 사람들과 평균수명이 차이가 없거나,건강관리를 더 철저히 하는 경향 때문에 수명이 더 높기도 합니다.또 HIV에 감염되는 것을 약물로 예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을 PrEP라고 합니다.HI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이 예방약을 복용하면 HIV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습니다.의료계 종사자나 HIV감염에 취약한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런 약물을 미리 복용하여 HIV감염을 막기도 합니다.
Q.  코로나 바이러스 의약품 ‘와파린’에 비대칭유기촉매기술이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사용됐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화학반응을 하면 거울상이성질체라는 구조의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거울상이성질체란 구성분자와 결합구조가 같지만 거울에 비친것처럼 반대방향으로 만들어진 이성질체 입니다.이들은 밀도와 녹는점 끓는점 등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쉽게 분리해낼 수 없습니다.빛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편광현상에만 차이가 나타납니다.오른손과 왼손의 관계처럼 볼 수 있습니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서로 성질이 다를 수 있습니다.오른손에 끼는 장갑을 왼손에 끼면 맞지 않듯, 약물에서도 특정 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 그것의 거울상이성질체는 전혀 다른 효과를 보입니다.비대칭유기촉매는 데이비드 맥밀런에 의해 개발된 유기촉매입니다.화합물 제작시 거울상이성질체가 만들어지지 않고 원하는 화합물만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촉매입니다.카이랄 촉매는 일련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거울상이성질체가 만들어 질 수 없도록 합니다.와파린도 제조시 거울상 이성질체가 만들어집니다. 화학반응을 진행할 때 각 물질을 정해진 농도로 주입합니다.와파린 합성은4-하이드록시 쿠마린에 알파,베타-불포화된케톤과 반응시킵니다. 이 때 카이랄 촉매와,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반응을 진행합니다.이렇게 하면 반응 결과로 대부 카이랄 와파린 유도체가 만들어집니다.
Q.  전세계 식충식물중에서 새까지 먹을수 있는 식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2011년도에 네펜테스믹스타라는 이름의 식충식물의 주머니에서 박새가 잡혀 죽어있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큰 주머니로 곤충을 유인하여 잡는 방식인데 크기에 따라 잡을 수 있는 동물이 다양하다고 합니다.크게 자란것에 도마뱀이나 쥐가 종종 잡히기도 하며 새처럼 큰 동물이 잡히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합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