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7월 6일 작성 됨
Q.
겨울에 따뜻한 지방으로 이동하는 새들과 그렇지 않은 새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새들을 철새, 계절이 변해도 계속 같은 지역에서 서식하는 새를 텃새라고 합니다. 텃새의 경우 특정 지역의 기후와 환경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종들입니다. 겨울이 되면 털갈이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철새의 경우 기후의 변화에 따라 서식지를 바꾸는 새들입니다.여름에 북쪽으로 이동하여 번식을 하고 겨울이되면 더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합니다.새들은 다른 동물에 비해서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한 지역에 고립될 확률이 낮아 기후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었을 것으로 봅니다. 최근에는 환경변화에 따라 서식지의 환경이 좋아지면 철새가 이동하지 않고 머무는 경우도 있으며 철새의 텃새화라고 합니다.
2024년 7월 6일 작성 됨
Q.
반려동물들의 털이 특정 계절에 더 많이 빠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강아지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의 털이 특정 계절에 많이 빠지는 이유는 계절이 바뀜에 따라 털갈이를 하기 때문입니다.계절에 따른 기온과 해가 떠있는 시간이 동물들의 호르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털빠짐과 새로 자라는 털의 유형에 영향을 줍니다.봄에 여름을 대비해서 빽빽하게 자라있던 털과 솜털이 빠지고 까슬까슬한 털이 자라며,겨울을 대비해 가을에는 까슬한 털이 빠지고 솜털과 복슬한 털이 자랍니다.집안에서만 생활하는 동물은 털갈이 주기가 밖에서 사는 동물들보다는 덜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7월 6일 작성 됨
Q.
머리카락이나 손톱은 어떤 세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과 손톱 그리고 발톱은 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은 아닙니다.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손톱의 뿌리부분 아래에 손톱을 생성하는 모체세포가 있습니다.이곳에서 계속 손톱이 만들어지면서 손톱이 자라나게 됩니다.머리카락도 마찬가지로 뿌리부분의 모낭에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세포가 있습니다.
2024년 7월 5일 작성 됨
Q.
림프절의 흐름과 혈액의 흐름..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혈액이 심장에서 나와 동맥을 타고 흐르다 모세혈관을 지나 정맥으로 순환하는데, 모세혈관에서 혈압에 의해 백혈구와 혈장성분이 혈관에서 세포사이로 빠져나와 남게 됩니다.이중 일부가 림프관으로 들어가 림프액의 구성성분이 됩니다. 혈액은 심장이 뛰면서 강한 압력이 발생하여 이동하며 동맥-모세혈관-정맥을 거쳐 다시 심장으로 돌아와 순환합니다.혈액은 닫혀있는 순환계에서 흐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림프관은 혈관과 달리 닫혀있지 않고 한 쪽끝이 쇄골하정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림프관에서 림프액의 흐름은 혈관의 심장처럼 압력을 가하는 주체는 없어서 모세혈관에서 들어오는 체액에 의해 밀려나가거나, 림프 주변 동맥의 맥박, 주변의 근육 움직임 등에 의해서 밀려 흘러갑니다.그래서 림프의 흐름은 느린편입니다.림프관에는 판막구조가 있어서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합니다.림프관은 쇄골하정맥으로 연결되어서 림프액은 결국 혈관의 혈액과 합쳐집니다.
2024년 7월 5일 작성 됨
Q.
인간은 왜 아보카도를 먹어도 아무렇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아보카도에 들어있는 페르신(persin)이라는 독성 물질 때문입니다.아보카도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로 덜익은 과육과 껍질 씨앗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래서 동물에게 과육보다 껍질이나 씨앗이 더 유해합니다. 사람은 페르신을 해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오랜시간 먹어오던 과일이고 페르신 때문에 이상이 생긴 사례는 없어 큰 문제는 없다고 보고있습니다.다만 적당량을 먹었을 때는 영향이 없지만 너무 많이 먹거나 껍질이나 씨를 먹었을 때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