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내가 기억하는 과거와 실제 벌어진 과거가 다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뇌는 동영상을 찍는 카메라같은 기계와 다르게 선택적으로 기억을 저장하고, 같은 화면도 주의가 집중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기억합니다.뇌는 나쁜일은 오래기억하며, 오랜시간이 지나면 기억은 편집되어 미화됩니다. 이런 기억이 미화되 매커니즘은 완벽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뇌가 기억하는 특정 상황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의 정도는 해당 사건의 평균을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Peak-End Rule 이라고 하는데 좋지않았던 여행도 정말 좋았던 순간이 있다면 뇌는 그럭저럭 괜찮았던 여행으로 기억하게 됩니다. 이렇게 기억은 부정확하기 때문에 과거에 트라우마처럼 생존에 위협이 된 심하게 나빴던 기억이 아니라면 뇌는 이를 좋은 기억으로 남겨 심리적인 안정이나 자존감향상을 유지합니다.
Q. DNA와 RNA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DNA와 RNA는 둘 다 핵산이지만 여러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핵산은 뉴클레오타이드라는 단위체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데,뉴클레오타이드는 인산-5탄당-핵염기 의 구조로 되어있습니다.DNA와 RNA는 우선 5탄당을 구성하는 요소가 다른데,RNA의 5탄당은 리보오스 이며 DNA의 경우 여기서 산소가 하나 빠진 디옥시리보오스 입니다.핵염기 부분의 구성도 다른데, DNA는 시토신, 구아닌, 아데닌 티민 의 4종류지만RNA는 시토신, 구아닌, 아데닌, 우라실의 4종류를 가집니다.또한 DNA는 이중나선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RNA는 한가닥인 단일나선으로 존재합니다. DNA는 우리 몸에서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요, DNA의 유전정보에서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DNA의 정보를 mRNA에 전사하고 mRNA를 틀로하여 로 단백질이 번역됩니다.단백질 생성과정에서 중간다리를 하는 역할로 볼 수 있습니다.RNA에는 역할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방금 말한 mRNA와,rRNA : 단백질 번역과정중 단백질 합성 공간이 되는 리보좀을 구성하는 RNAtRNA : 특정 아미노산에 결합하여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RNAmiRNA : mRNA를 분해하여 형질발현을 조절하는 RNA 등이 있습니다.모든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들은 DNA를 가지며, 단백질 생성에 동일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모든 생물은 RNA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바이러스도 DNA나 RNA를 가지는데, 세포생물과 달리 둘 중 하나만을 가집니다.
Q. 왜 운전을 직접 하면 멀미를 안할까요??
안녕하세요.멀미가 일어나는 주요 이유는 눈에서 판단되는 시각과,귀의 전정기관에서 판단되는 흔들림이나 회전(전정감각)이 일치하지 않아 뇌가 혼란을 느끼고 구토중추가 활성화되어 일어납니다.그래서 특히 차에서 스마트폰을 하거나 책을 읽으면 화면과 글자에 집중하게 되어 이런 간극이 심해지므로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앞자리에 앉은사람 특히 운전자의 경우 멀미를 하지 않는데, 이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제어하고 있고, 전방에 보이는 시야와 현재 느껴지는 전정감각이 일치하기 때문입니다.특히 직접 차량을 제어하는 점이 자신의 의도대로 방향과 속도가 제어되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보일 시야와 전정감각이 예측이 되므로 뇌에 혼란을 주지 않습니다.
Q.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은 몸에서 신경계로 분류하며, 감각기관과 운동기관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흐르는 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신경계로 따로 분류하기는 하지만 감각뉴런이 감각을 수용하여 뇌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감각기관의 구성으로 불 수 있으며, 운동뉴런도 근육의 움직임에 관여하므로 운동기관에 포함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감각뉴런의 경우 눈의 망막, 귀의 달팽이관, 코의 후각수용체, 혀의 미뢰 피부에 분포되어 있으며 감각기관이 감지할 수 있는 자극이 발생했을 때 세포막전위가 변하면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합니다. 감각뉴런은 기다란 신경세포이며 마치 전선처럼 신호가 전달되고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된 시냅스 부분에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최종적으로 척수의 신경세포를 통해 신호를 뇌로 전달하거나, 뇌와 직접 연결되어 뇌에 직 신호를 전달합니다.뇌는 이런 감각정보들을 해석하고 우리가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하는데, 마찬가지로 신호를 운동뉴런에 전달하며 운동뉴런의 끝은 근육에 연결되어 있어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여 여러가지 움직임을 발생시킵니다.
Q. 복제 동물인 돌리는 원래 있는 돌리랑 행동이 같은가요?
안녕하세요.돌리를 복제하는데 사용한 모체 양의 세포는 핀란드의 성체 양의 젖샘세포에서 추출하였다고 합니다.복제양 돌리와 모체가된 핀란드 양의 행동을 비교한 구체적인 자료를 찾지 못하였지만 돌리의 경우도 다른 양들과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행동을 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동일한 유전자를 가졌으므로 양으로의 행동이나 성격, 일부 행동패턴 등은 모체가 된 양과 유사했을 것입니다.또 6마리의 새끼를 자연임신으로 낳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일반 양들과 같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하지만 각 개체별의 특성은 모체의 양과 달랐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런 부분은 환경적 요인, 경험과 학습, 건강상태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복제양 돌리는 모체가 된 양과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다른 양에비해 건강상태가 빠르게 악화(노화가 이른 나이에 찾아옴)되어 양들의 평균수명의 절반인 6세에 안락사되었기 때문에 행동은 많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