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미생물 배양 시, 배지 성분으로 엄청나게 많은 영양분이 들어 가는데요 주로 들어가는 성분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미생물 배양용 배지에는 주로 미생물이 먹어서 영양소를 획득할 수 있는 영양성분이 들어갑니다.펩톤이나 트립톤 같은 단백질을 가수분해 시켜 만든 물질과 육류에서 추출한 육즙(주로 소고기), 효모추출물, 포도당 같은 탄수화물 등입니다. 고형배지의 경우 아가(agar)혹은 젤라틴이 추가되어 굳힐수 있습니다.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길에 핀 이 꽃은 코스모스 모양인데이름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해당 꽃은 큰금계국으로 보입니다.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북미에서 넘어온 여러해살이풀인데 재배용으로 수입했지만 야생으로 퍼져 정착했습니다. 주변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6~8월에 꽃이 핍니다.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벌이 사는 벌집을 보면 모양이 육각형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벌들이 벌집을 육각형으로 짓는 이유는 육각형 구조가 공간 활용에서 제일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벌들이 만약 원형으로 집을 짓는다면 원과 원들이 쌓여 만들어 질 때 빈 공간이 남게됩니다.해당 공간을 밀랍을 사용해 채워야 하는데 이러면 벌집의 무게도 무거워지고 밀랍도 많이 들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6각형은 한 모서리의 각도가 120도로 3개가 모이면 360도로 남는 부분 없이 붙일 수 있습니다. 차곡차곡 쌓는다면 원처럼 비는 공간없이 빽빽하게 배열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벌들은 벌집을 지을 때 원형으로 시작하지만 남는 부분의 밀랍을 제거해가면서 결국 육각형 구조가 됩니다. 삼각형,사각형도 모았을 때 360도를 만들어 빈틈없이 만들 수 있지만 육각형으로 만들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가장 넓게 됩니다. 또 삼각형 혹은 사각형으로 만들면 공간을 더 촘촘히 나누는 것이므로 밀랍도 더 많이 들게됩니다.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식물의 세포질과 액포는 다른건가요? 다른거면 구성비가 몇대몇 정도로 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세포질의 경우 세포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나 유전물질 등이 이동하고 다양한 반응이 일어나 생명활동이 진행되는 장소입니다. 식물에서는 액포가 특히 발달하여 중심액포라고 불립니다.중심액포는 액포막으로 둘러싸여 세포질과 분리되어 있는 구조입니다.식물세포가 자라면서 액포도 점점 커지며 성숙한 식물세포 내부의 80%정도를 차지합니다.중심액포는 여러가지 역할을 하는데 팽압을 유지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식물 세포 자체의 크기가 커지도록 유도합니다.식물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이나 독성물질을 저장하며 몇몇 꽃은 액포에 색소를 저장하여 색을 냅니다.
2024년 7월 3일 작성 됨
Q.
올빼미와 부엉이가 서로 다른 조류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올빼미와 부엉이는 각각 여러 다른 종이 있습니다.다만 둘 다 올빼미과에 속해서 서로 가까운 종이고 외형도 비슷하게 생겼습니다.영어권 에서는 올빼미와 부엉이를 구별하지 않고 owl로 부릅니다.올빼미와 부엉이는 외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부엉이의 경우 귀깃이라고 하여 눈 위쪽 머리위에 두드러진 깃털다발로 이루어진 한쌍의 깃이 있습니다.또한 올빼미보다 일반적으로 큰 종이 많습니다.올빼미의 경우 부엉이가 가지는 귀깃이 없고 머리가 둥급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