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전적 장애 제자식한테까지 내려올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청각장애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어서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선천성 난청의 절반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며 나머지 절반은 유전성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유전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청각장애 또한 한 종류의 유전자에 의한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형이 여러가지이고 정확한 발생 가능성을 말하기 힘듭니다.가족력이 있다면 가능성이 조금 높을 수 있지만, 가족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살아왔다면 환경적 요소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환경적 요소에는 약물, 지속적 소음노출,감염 등이 있습니다.정확한 예측을 하기 위해서는 관련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상담하고 유전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난청의 원인이 되는 몇몇 유전자에 대한 검사 방법이 있고 이를 통해 난청 유전자 보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물속에 사는 곤충들은 물고기처럼 숨을 쉬는 것인가요? 아가미 같은 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물 속에 사는 곤충을 수서곤충이라고 합니다.수서곤충은 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호흡합니다.다른 곤충처럼 물 밖의 산소를 사용하여 숨을 쉬는 종도 있고, 물고기들 처럼 아가미와 같은 기관을 가져 물 속의 용존산소를 사용하여 호흡하는 종 도 있습니다.또 피부로 숨을 쉬는 종도 있습니다.공기중에서 산소를 직접 마시는 곤충들은 주로 물 표면에 살거나, 몸에 기다란 관 같은 구조가 있어 이것을 물 밖으로 내밀어 숨을 쉽니다. 예시로 게아재비 성충은 배 끝에 긴 숨관이 있어서 이를 물 밖에 내밀어 숨을 쉽니다. 다른 곤충들처럼 기문이 있어 주기적으로 물 밖으로 나와 호흡을 하고 다시 물로 들어가는 종도 있습니다.혹은 공기방울을 물 속으로 들어가 숨을 쉬는 종도 있습니다.어떤 곤충들의 유충은 기관아가미라는 특이한 구조가 있어 이것을 통해 물 속의 용존산소를 사용해 호흡합니다.이외에 피부로 호흡, 모반기층이라는 특이한 구조로 몸에 얇은 공기층을 만들어 숨을 쉬는 방법, 기문아가미라는 구조를 사용해 호흡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종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