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나나는 번식을 씨앗으로 하나요, 다른 방법으로 하나요?
안녕하세요.우리가 흔히 먹는 바나나는 씨앗이 없는데요.야생의 바나나를 품종개량하여 씨앗이 없는 품종을 만들어낸 것입니다.원래는 씨로 번식하였지만, 씨가 없는 바나나는 이 방법으로 번식을 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씨없는 바나나의 경우 영양생식 방법으로 개체수를 늘립니다. 영양생식은 식물의 줄기, 잎, 뿌리 같은 기관을 따로 분리해 심어서 개체를 늘리는 방식인데요,바나나의 경우 바나나의 뿌리에서 작은 바나나 나무가 올라오는데, 이를 잘라내고 다른곳에 옮겨심으면 새로운 바나나 나무가 됩니다. 이런 영양생식법은 특성상 모체와 새로 생긴 개체의 유전자가 동일합니다.그래서 우리가 먹고있는 바나나의 경우 같은 품종의 경우 유전적으로 같습니다.때문에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도 같아서 현재 재배되는 바나나는 병충해에 의해 멸종되기 쉽습니다.실제로 현재 많이 먹는 캐번디시 바나나 이전에 그로미셸 이라는 품종이 있었는데, 바나나 마름병 때문에 더이상 대량재배가 불가능해져서 캐번디시 품종을 키우기 시작했습니다.캐번디시 품종도 현재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발중인 인공혈액도 혈액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우리 몸에서 혈액형이 나뉘는 이유는 적혈구 표면의 단백질과 당 등이 유형에 따라 다르고혈장에 포함된 응집소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Rh- O형의 적혈구에는 혈장의 응집소에 반응하는 응집원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혈액형에 관계없이 수혈할 수 있습니다.인공혈액의 경우도, Rh-O형 을 기준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응집소에 반응하는 응집원이 없어 어느 혈액형에도 수혈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향으로 개발 중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잎이 하나씩 색깔이 변하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식물들의 잎이 노랗게 변하는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그리고 노랗게 변하더라도 조금씩 특징이 다른데요.물을 과하거나 너무 적게, 그리고 영양소의 불균형, 햇빛의 과다 혹은 부족, 해충 등이 노랗게 변할 수 있는 원인입니다.하지만 노랗게 변하는 잎이 많지 않고, 다른 요소들을 꼼꼼하게 챙겨주고 있으며10일정도에 하나씩 노랗게 변한다면 그냥 자연스러운 하엽일 수 있습니다.식물의 잎도 어느정도 사용기한이 있고 잎의 수명이 다하면 식물이 잎으로 가는 영양소를 줄이고 잎을 떨어뜨리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잎이 노랗게 변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 피는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있을까요?
안녕하세요,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나눌 수 있고, 혈구에는 잘 알려져있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속합니다.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백혈구는 면역작용혈소판은 혈액응고를 하는 역할을 합니다.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를 제외한 용액으로 포함된 성분과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주로 용매인 물과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염류 - 삼투압과 pH 항상성 조절, 및 막전위조절알부민, 피브리노겐, 면역글로불린 등의 혈장 단백질 - 삼투압, pH항상성 조절, 혈액응고, 면역반응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처부위를 압박하면 흐르던 피가 멈출까요?
안녕하세요.상처부위를 압박하면 압박 받은 혈관이 눌려 혈류량이 적어져 출혈이 줄어들게 되며작은 상처들의 경우 출혈이 줄어든 동안 혈관이 수축하는 물질이 나와 혈관이 수축하고,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을 막아 출혈이 이어지지 않게 합니다.큰 혈관의 손상은 단순히 압박만으로 출혈을 멈출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조취를 취할동안 손상부위를 계속 압박하여 출혈을 멈출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즘 자연선택설의 입지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지금도 자연이 환경으로 선택압을 가해 환경에 적응하는 종이 살아남아 생존과 번식에 이득을 본다는 자연선택은 우세한 이론입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얻은 형질이 환경에 유리하면 살아남아서 오랜시간 이런 과정이 반복되어 새로운 종으로 나누어지는 진화의 요건이 되는 것인데요.최근 후성유전학의 이론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용불용설이 맞다고 오해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후성유전학은 기존의 유전자 만능설을 반박하며, 모든 형질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의해 조절되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특히 DNA메틸화와 히스톤아세틸화가 잘 알려진 방식)용불용설은 단순히 많이 사용해서 발달한 기관같은 획득형질이 후손에게 전해진다고 하는데, 이 설명은 유전자와는 관련이 없고. 후성유전학의 이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과학이론은 새로운 증거의 발견과 더 간단하고 논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면 계속 바뀌어나갈 수 있습니다.다만 큰 흐름은 자연석택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환경에 의한 차이도 후성유전학으로 설명가능한 것이지 아직까지 용불용설이 맞는 추세가 된 적은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뉴런, 신경, 신경계 뭐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신경은 보통 신경세포를 말하고, 신경세포를 영어로 뉴런이라고 합니다.그래서 뉴런과 신경은 같은 단어로 보셔도 됩니다.신경계는 여러가지 종류의 뉴런들이 회로를 이루어 몸 곳곳의 움직임과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체의 기관계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른 인종은 피부 색 말고는 다른 차이는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각 인종은 피부색이 두드러지는 차이이고, 체형의 경향성, 눈동자의 색, 머리카락의 곱슬정도, 머리카락색코나 입술의 형태, 땀샘, 그리고 특정 질병에 대한 저항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물론 이는 같은 인종내에서도 차이가 나므로 절재적이지는 않습니다.예를들면 백인은 피부암에 걸릴 확률이 다른 인종보다 높고, 흑인들은 결핵에 걸릴 확률이 다른 인종보다 높습니다.뇌의 경우 인간의 뇌는 가소성에의해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인종간의 차이가 있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빙하속에 있던 세균이나 병원균들이 다시 살아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실제로 빙하에 얼어있던 세균이나 고세균 그리고 바이러스 등은 해동되면 생존하거나 활동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한 연구에서 2만7천년~4만8500년전 전 얼어 영구동토층에 보존된 9종류의 바이러스가 감염력을 가지는지 아메바로 실험을 하였는데, 아메바를 실제로 감염시켜, 여전히 세포를 감염시키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되살린 9종의 바이러스 모두 감염능력이 있다는 것에서 영구동토층에 얼어있는 다른 바이러스들도 감염능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세균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감염되지는 않기에 당장 이런 바이러스 유출이 문제가 되고있지는 않지만 이렇게 영구동토층에 얼어있던 바이러스나 세균들은 현대에 발견되어 연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떤 증상을 가져올지 예측불가능하기 때문에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올챙이 키우는데 돌 이렇게 넣어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물 밖으로 나온 돌 부분이 넓게 있어서 개구리가 된 뒤에 돌 위에서 충분히 폐호흡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올챙이 때는 물 안에 있어도, 수면에서 공기를 마시는 방법으로 폐호흡을 할 수 있고, 개구리가 된 이후에는 폐호흡과 피부호흡을 합니다.그래서 적당한 지면과, 수분이 많은 환경이 개구리의 호흡을 원할하게 할 수있도록 해줍니다.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