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중인 인공혈액도 혈액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인공혈액은 혈액의 기능을 인공물질로 바꾸는 거라는데요~ 인공혈액은 우리가 가진 피 혈액형같이 혈액형이 있을까요?
아직까지 상용화된 완전한 인공혈액은 없지만, 현재 개발 중인 인공혈액은 혈액형과는 무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공혈액은 헤모글로빈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산소 운반 능력이 있는 화학물질 등을 사용하여 제조됩니다. 이는 혈액의 주요 기능인 산소 운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혈액형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단백질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데, 인공혈액에는 적혈구 세포 자체가 없기 때문에 혈액형 항원이 없습니다. 따라서 인공혈액은 모든 사람에게 주입 가능한 범용성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작용 문제 등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어 추가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 몸에서 혈액형이 나뉘는 이유는 적혈구 표면의 단백질과 당 등이 유형에 따라 다르고
혈장에 포함된 응집소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Rh- O형의 적혈구에는 혈장의 응집소에 반응하는 응집원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혈액형에 관계없이 수혈할 수 있습니다.
인공혈액의 경우도, Rh-O형 을 기준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응집소에 반응하는 응집원이 없어 어느 혈액형에도 수혈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향으로 개발 중입니다.
인공혈액은 안정적인 수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진행 중인 연구인데요, 줄기세포의 분화능을 이용한 인공혈액 개발과 유전자교정으로 면역을 억제한 동물의 혈액을 이용하는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혈액형 수혈을 할 때에는 Rh-O형만이 유일하게 모든 혈액형에 수혈이 가능한데요, 만능공여 인공혈액을 개발하기 위해서 Rh-O 혈액을 기반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인공혈액을 만들 것이라고 합니다.
개발 방향에 따라 다르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만능공여 형태의 인공혈액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모든 혈액형에 수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실제 일본의 연구팀은 혈액형에 상관없이 수혈이 가능한 인공혈액을 개발했다고 발표했고, 이러한 인공혈액은 희귀 혈액인 Rh-O형 혈액을 기반으로 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적혈구 분화, 탈핵, 성숙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