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드라이아이스를 집에 놔두면 모기가 이쪽에 몰리거나 앉게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기는 흡혈대상을 찾을 때 대상이 숨으로 내뿜게 되는 이산화탄소를 추적하여 흡혈대상을 찾습니다. 드라이아이스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고체형태로, 실온에 둘 경우 승화하여 기체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 주변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기체 이산화탄소가 존재하게되고 모기들이 이를 동물이 숨으로 내쉬는 이산화탄소로 착각하여 드라이아이스 주변으로 모이게 됩니다.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유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드라이아이스 외에도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면모기 유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효모액을 사용하거나, 탄산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Q.  최근 유력한 정설중 얼룩말의 줄무늬가 모기나 흡혈파리를 막기 위한 가설의 근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얼룩말 무늬의 역할에 대해서 여러가지 가설이 있었습니다.해당 가설들을 증명하기 위해 여러가지 조사와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보호색일 것이라는 가설은 무늬의 유무가 맹수에게 공격받아 죽는 빈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지않는 것으로 밝혀져 아닌것으로 밝혀졌습니다.조사 중 연구진들이 세계의 말 분포를 조사하다 얼룩말과 흡혈파리의 서식지가 일치한다는 점을 발견하고 얼룩말 줄무늬가 흡혈파리의 공격을 줄여준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연구진들은 말9마리와 얼룩말3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는데,얼룩무늬가 있는 천을 씌운말, 흰 천을 씌운 말, 검은 천을 씌운말 등으로 나누어 실험 관찰을 했고 얼룩무늬가 있는 천을 씌운 말의 경우가 흰천 혹은 검정 천을 씌운 말에 비해 흡혈파리가 덜 달라붙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래서 얼룩말의 무늬가 흡혈파리의 접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설득력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Q.  현미경 사용할 때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의 배율 차이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200배의 배율로 보기위해서는 접안렌즈 10배, 대물렌즈 20배 혹은대물렌즈 10배, 접안렌즈 20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두 경우 모두 물체의 크기가 200배로 보입니다.하지만 이미지가 얼마나 선명하게 보이는지는 다릅니다.이론적으로 렌즈를 사용해서 물체를 무한정 확대해서 볼 수 있지만, 유효한 배율 범위를 벗어나면 디테일 없이 흐릿하게 커다란 물체를 보게됩니다.이런 현상 공확대라고 합니다.현미경으로 이미지를 선명하게 보는데는 대물렌즈의 분해능이 중요합니다. 분해능은 렌즈가 물체를 확대 했을 때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는 정도입니다.(정확히는 가까운 두점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대물렌즈가 명확하게 분해하여 확대한 상의 미세구조는 접안렌즈로 더 확대하면 유지됩니다.하지만 대물렌즈가 분해하지 못한 상의 미세구조는 접안렌즈로 확대해도 여전히 선명하지 않은 상태로 확대됩니다.결론적으로 두 방법 모두 같은 배율로 물체를 확대할 수 있지만 10배 대물렌즈 /20배 접안렌즈 조합보다20배 대물렌즈/10배 접안렌즈 조합이 더 선명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Q.  거미의 거미줄에 DNA가 존재한다는 글을 봤는데 실제로 DNA가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거미줄은 거미가 생성하는 단백질로 구성된 물질이기 때문에 거미의 DNA가 재료의 일부로 포함된 것은 아닙니다.거미줄은 끈끈한 성질 때문에 꼭 먹이인 곤충이 아니더라도 공기중에 떠다니던 여러 물질들이 붙을 수 있습니다.이런 성질 때문에 거미줄을 채취해 분석하면 DNA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공기중에 떠다니던 환경 DNA가 거미줄에 붙은 것입니다. 환경 DNA란 생물의 DNA가 물, 흙, 공기 중 등에서 잔존해 있는 것 입니다.피부세포, 혈액세포, 모세포 등 세포가 남아있기도 하며, 세포질에서 DNA가 빠져나오더라도 분해되기 전 일정기간 잔존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생물을 직접 보거나 잡지 않아도 물, 흙, 공기 등에 존해하는 DNA를 분석하여 해당 생물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마치 범죄현장에서 범인의 DNA를 찾아내는 방법과 비슷합니다.최근에 거미줄에 붙은 DNA를 분석하여 멸종위기종을 생포하지 않고 연구한 사례도 이런 환경DNA를 활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잇습니다.
Q.  우리몸에서 가장 강한 근육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단위면적당 가장 큰 힘을 낼 수 있는 근육은 교근입니다. 흔히 동물의 무는힘을 표현하는 치악력처럼사람이 무는 힘을 내는 근육입니다. 근육은 면적이 크면 낼 수 있는 힘이 커지므로 단위면적으로 보지않고근육 자체만 본다면 대퇴사두근이 가장 큰 힘을 낼 것으로 생각됩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