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딱따구리는 어떻게 나무에 구멍을 뚫어도 뇌가 멀쩡한가요?
머리와 목뼈의 구조가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그리고 두개골 안쪽에 다른 동물에 비해 많은 뇌수가 있어 뇌가 충격에 더 보호됩니다.또 혀가 매우 길며 혀가 두개골을 감싸는 형태로 들어가 완충작용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각 뇌 부분의 역할과 사람의 생각과 연산을 담당하는 부분은?
뇌는 부위별로 기능이 다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대뇌의 경우 크게 4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영역의 역할이 구분됩니다.전두엽이 인간의 사고나 연산 등을 시행하는 부분입니다.두정엽은 통증이나 자세등을 파악하는 감각중추이며시각은 후두엽에서 소리같은 감각은 측두엽에서 주로 답당합니다.각 부분에 손상을 입으면 해당 부분에서 담당하는 기능에 장애가 발생합니다.하지만 약간의 유동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유성 생식을 하는데 성이 세개인 생명체가 있나요??
성이 두 가지 이상인 생명체도 존재합니다.염색체 수의 이상이나 염색체 조합과 다른 성이 발현되는 간성 등을 제외한다면인간은 성염색체의 조합으로 XX면 여성 XY면 남성이 됩니다.하지만 다른 생명체들은 이와는 다른 조합으로 성별을 결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버섯과 같은 진균류는 성별이 매우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세균의 경우에도 두가지 이상의 성별을 갖는 종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펜더가 대나무를 선호하는 것이 이유가 뭔가요?
판다의 내장구조는 육식에 적합하다고 보여지지만 주로 대나무를 먹습니다.야생판다는 종종 사냥을 해서 고기를 먹기도 합니다.장내 미생물 덕분에 대나무를 소화할 수 있지만 장의 구조때문에 대나무를 먹어도 소화율이 높지 않아서 많은 양을 먹어야 합니다. 판다는 감칠맛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있어 고기를 맛있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그래서 쉽게 얻을수 있는 대나무를 먹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됩니다.대나무를 주식으로 하는 이유은 판다의 선호도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갯강구는 거의 모든 해안가에 다 서식하고 있나요?
갯강구는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절지동물입니다.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해안에 서식하고 있습니다.유명한 해변에서 잘 보이지 않는 이유는 아마 사람들의 왕래가 잦기 때문일 것입니다.갯강구는 진동에 민감하며 사람이 다가가면 빠르게 숨어버립니다.아마 밤에 사람들이 적을 때 방문하면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갯강구는 징그럽기는 하지만 해변에 생기는 많은 사체들을 먹어서 분해시키기 때문에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몸에서 가스는 어디에서 생성되는건가요??
내장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대부분 음식에서 유래합니다.음식과 박테리아가 만나면 박테리아가 음식을 분해하며 이 때 이산화탄소나 메탄, 알코올 등의 부산물이 생깁니다.가스가 발생하는 장소는 주로 대장입니다.하지만 다른 소화관에서도 가스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소장에서도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데 소장에도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때문입니다.주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이 소장이나 대장까지 도달하게되면소화가 안되어 흡수되지 못하는 음식들이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됩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가스가 발생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새들은 지도가 없는데 동서남북 방향을 어떻게 알까요??
지구의 주변으로 지구에서 발생한 자기장이 존재합니다.자석의 자기장처럼 일정한 뱡향으로 이동하는데요.새들의 눈에는 이런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단백질이 존재해서 자기장을 감지하여 마치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최근에는 인공 전자기파에 의해 새들의 자기장 감각 능력에 혼란을 주어 방향감각을 잃는 경우가 생긴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피곤하면 하품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하품을 하는 이유로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 예는 산소공급과 뇌의 온도 식히기를 들 수 있습니다.하품으로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 공급을 늘리거나, 하품을 할 때 넓어지는 부비동을 넓혔다가 수축시키면서 뇌 아래쪽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실제로 여름에는 주변 공기가 따뜻하여 뇌를 식히는 효과가 적어 하품의 수도 적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잘랐을때 액체가 쏟아지는 식물이 있나요??
수액이 사람의 피와 비슷한 나무로 용혈수가 있습니다. 이는 진짜 피는 아니고 수액의 색이 붉은색일 뿐입니다.색상 때문에 염료나 화장품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식물들은 물관과 체관을 통해 영양분을 이동시키고 해당 관의 안에는 물을 많이 포함한 수액이 들있습니다. 주로 우리가 수액을 채집하는 고로쇠나무나 단풍나무 등은 나무의 체관까지 상처를 내어 관을 꽃아 채취합니다.또 물을 많이 머금는 식물으로는 잎이나 줄기가 굵은 다육식물을 들 수 있습니다. 식물의 경우 동물처럼 심장으로 펌프질하여 수액을 이동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잘랐을 때 수액이 뿜어져 나올 가능성은 적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암이 덩어리로 되기까지 수없이 세포분열을 한다는데 암세포는 왜 생기는 건가요?
암세포의 경우 유전자 돌연변이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세포에는 분열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가 있습니다.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로 손상되어 기능을 하지 못하면 세포의 분열을 조절하지 못합니다.또 세포에 이상이 있을 때 세포를 사멸하게 하는 유전자도 있는데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 되어 기능을 못하면 이상있는 세포가 죽지않고 생존합니다.각 조절인자에 관한 유전자는 여러개가 있으며, 하나의 손상만으로 암세포가 되지는 않습니다.또 세포에는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복구하는 기작도 있습니다. 여러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겪고 손상을 회복하는 기작만으로 복구할 수 없어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대부분 손상되면 암세포가 됩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