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란성 쌍둥이가 지문도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란성 쌍둥이는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기 때문에 외형이 매우 비슷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다른 부분들이 존재하는데 지문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지문의 형성은 임신 13주차 쯤 부터 시작됩니다. 지문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말고 환경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합니다. 2023년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문의 형성은 앨런 튜링이 제안한 튜링패턴에 따른다고 합니다. 튜링패턴은 복잡하지만 자연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얼룩말이나 호랑이의 줄무늬 등)이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의 작은 차이에 따라 수학적으로 달라진다는 수학이론입니다.WNT,EDAR,BMP 라는 3가지 단백질이 상호작용하여 지문이 형성된다고 합니다.각각 지문융선생성, 융선크기와 간격조절, 앞의 두작용을 억제 하는역할을 합니다. 이 3가지의 단백질이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패턴을 만들어 내는데, 자궁내에서 착상위치와 같은 초기 환경의 차이가 위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에 차이를 일으킵니다. 결국 일란성 쌍둥이라고 해도 지문에는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다만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지문이 다르지만, 일란성 쌍둥이가 아닌 형제보다는 지문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Q. 로얄젤리가 어떻게 여왕벌에게 산란능력을 만들어주는걸까요?
로얄젤리에는 로열락틴이라는 단백질이 있으며 이것을 먹으면 곤충의 세포를 증식시키고 수명을 늘리는 유전자를 활성화 시킵니다. 여왕벌과 일벌의 유전자는 동일하지만, 유충때 무엇을 먹는 가에 따라 유전자 발현이 차이가 나고 이것이 여왕벌과 일벌을 나누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여왕벌이 없는 벌 군집에서, 몇몇 유충을 선별하여 로열젤리를 먹이기 시작합니다. 이러면 유충이 급속도로 성장하며, 이들 중 또 선별을 거쳐 로열젤리를 먹입니다.최종적으로 선별된 유충이 결국 여왕벌로 성장합니다.여왕벌의 유충은 성장이 끝날때까지 로열젤리만 먹는데, 여왕벌로 선택되지 않은 유충은 꿀과 꽃가루를 먹습니다.꿀과 꽃가루에 포함된 miRNA가 유충의 난소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