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굉장한바다표범3
굉장한바다표범3

바이러스가 인체에 전염되는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바이러스가 인체에 전염되고 감염병을 유발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하고 복제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히 넓고 방대한 내용의 질문을 주셨네요.

    바이러스는 우리 인간처럼 한종류의 유전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ssRNA, dsRNA, ssDNA, dsDNA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분류를 할수 도 있으며,

    막이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도 할수 있지요.

    일단 너무나도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간단히만 설명하겠습니다. 필요시 어떠한 바이러스의 복제과정을 원하는지 추가적으로 새로운 질문을 남겨주신다면, 정리해서 다시 답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바이러스는 중간자라고 부르지요.

    중간자라고 부르는 이유는 생물학적 / 무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그냥 밖에 있는 경우라면, 무생물학적 특징을 가지나,

    인체에 침입한 경우라면, 숙주(Host) 세포 내로 이동하여, 바이러스 자체의 단백질들과 더불어, 숙주 단백질등을 이용하여 유전체를 복제하고, 유전자내의 정보들을 전사(transcription) 발현(expression) 하는 과정을 거쳐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만들게 되지요.

    그리고 다시 복제된 유전체와 단백질들을 합쳐 바이러스의 원형을 만들게 되며, 이를 기존 숙주세포를 손상시키며 다시 다른 숙주세포를 감염하는 방식을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숙주는 질환을 앓게 되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대표적으로 접촉, 비말, 매개, 세포 감염이 있습니다.

    접촉 감염이란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옷이나 물건, 사람과 직접 닿아 바이러스가 옮겨져 감염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과 악수하거나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물건을 만졌을 때 바이러스가 옮겨집니다.

    비말 감염이란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튀어나온 침을 통해 감염되는 것입니다.

    매개 감염은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모기, 파리, 벼룩 같은 곤충에게 물렸을 때 감염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세포 감염이란 바이러스는 세포를 감염시키고, 세포 안에서 증식하며 바이러스는 세포를 파괴하고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냅니다. 새로운 바이러스는 몸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염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이러스가 숙주인 우리 몸에 들어가면 바이러스의 단백질이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게 됩니다. 결합하게 되면, 바이러스와 세포가 융합되어 바이러스 내부의 DNA나 RNA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 증식 및 복제가 시작됩니다. 바이러스는 자체적으로 복제를 못 하므로 세포의 단백질 합성 과정에 같이 참여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바이러스가 점막이나 상처난 피부 등에 접촉하면 체내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체내로 유입된 바이러스는 대부분 면역세포에 의해 제거됩니다.

    하지만 면역세포를 피해 새포막에 안착한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안으로 침투합니다.

    세포막에 융합하거나 주사처럼 유전체만 주사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세포내로 들어간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체와 일부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새포내의 세포가 원래 세포 자신에게 사용할 여러 단백질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복제시키고 캡시드 껍질같은 단백질을 만들게 합니다.

    결국 세포는 바이러스를 복제하는 공장이 되며, 복제된 많은 바이러스들이 세포 밖으로 방출되고 몸 전체로 퍼지게 됩니다.

    이후 몸에서 분비되는 체액에도 바이러스가 섞여서 나오게되며 다른사람에게 접촉하여 전파될 수 있습니다.

    물론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감염 방법과 전염 방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 바이러스는 호스트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 바이러스의 단백질이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합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는 세포 내부로 침입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가 세포 내부로 들어가면 바이러스의 외피가 해체되고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세포 내로 방출됩니다.

    이 후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은 세포 내에서 복제되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합니다.

    복제된 바이러스 유전물질과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조립되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가 형성됩니다.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는 세포를 파괴하거나 세포로부터 방출되어 인체 내에서 다른 세포로 전파됩니다.

  • 바이러스는 우리 주변에 널리 퍼져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 침입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전파 경로로는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한 호흡기 전파, 오염된 물건이나 체액과의 직접 접촉, 감염된 동물의 고기나 오염된 음식 섭취, 감염된 모기에 의한 교상, 그리고 성 접촉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면, 표적 세포의 표면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부로 들어갑니다.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는 외피를 벗고 유전자를 발현시켜 바이러스 단백질을 생산합니다. 이 단백질들은 새로운 바이러스 복제를 위한 복합체를 형성하고,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가 조립됩니다. 조립된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를 탈출하여 다른 세포를 감염시키거나 체외로 나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바이러스 감염을 감지하고 백혈구와 항체를 동원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려 합니다. 면역 반응이 충분히 강하다면 바이러스는 제거되고 감염이 치료되지만, 면역이 약하거나 바이러스가 매우 강력한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계속 번식하여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고,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며, 때로는 독소를 생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질병을 일으킵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의 증상은 바이러스의 종류, 감염 부위, 그리고 개인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감염 위험이 있는 접촉을 피하며,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면역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가 인체에 전염되는 경로는 너무 다양합니다. 호흡기 비말, 직접 접초그 오염된 물체, 공기를 통한 에어로졸, 혈액, 체액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부로 진입합니다. 이는 직접 세포막을 관통하거나 세포에 의해 흡수되는 내포화를 통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