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카멜레온의 경우 피부가 어떻게 되어 있길래, 주변색으로 변환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카멜레온 피부에는 나노사이즈의 결정이 격자무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이 결정은 빛을 반사합니다. 이런 빛을 반사하는 층이 2개가 있습니다.카멜레온은 피부에 연결된 특수한 근육으로 피부를 늘리거나 줄이면서 이 격자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데,이 격자의 간격에 따라 피부색이 바뀝니다.이는 나노구조의 격자의 간격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된다고 합니다.이렇게 특정 색의 색소 없이도 나노구조에 의해 특정 색이 발현되는 경우는 다른 생물에게서도 관찰됩니다.새들이 가지고있는 푸른색 대부분은 깃털의 미세한 나노구조에 의해 나타납니다.실제로 깃털에 파란색 색소가 없는데도 푸른빛이 나게됩니다.이런 원리를 활용해서 나노구조를 바꾸어 색을 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고 더 연구되고 있습니다.
Q.  꿀벌이 멸종하면 왜 생태계가 파괴되나요?
안녕하세요.꿀벌은 대표적인 꽃가루매개자입니다.많은 식물들이 꿀벌을 통해 꽃가루를 매개하여 수분하고 번식합니다.그래서 꿀벌의 멸종은 주로 꿀벌을 이용해 수분하는 많은 식물종들의 멸종을 불러오고 이것이 연쇄적으로 다른 생물들에게 위협이되며 생태계에 혼란을 일으킵니다.특히 인간이 먹는 작물중 70%정도가 꿀벌이 꽃가루를 매개하여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래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은 직접적인 식량난을 겪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  야외에 나와 해를 보면 재채기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저도 밖에서 강한 햇빛을 보면 재채기가 나는데요.이런 현상은 세계 인구중 약 20%정도의 사람에게서만 나오는 특징이라고 합니다.빛 재채기 반사 혹은 아츄증후군 이라고 부릅니다.이런 재채기 반사가 일어나는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다만 유전되는 형질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고, 상염색체에 존재하며 우성유전됩니다.일반적인 가설은 '삼차신경반사'와 '부교감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의 두가지가 잇습니다.삼차신경반사는 눈, 비강, 턱 세부분으로 나누어진 두개골에서 가장 복잡한 신경인 삼차신경이 있는데, 강한 빛이 들어올 때 동공을 수축시키도록 하는 시신경과 코가 가려운 감각을 감지하는 삼차신경 부분이 교차하고 있어 강한 시각자극이 코의 가려움과 재채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입니다.부교감 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은 하나의 자극이 다른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빛을 받아 동공이 수축하면 코점막의 신경계도 함께 활성화되어 재채기가 나온다는 가설입니다.
Q.  잡초는 왜죽지않고 계속살아나나요?
안녕하세요.생명력이 질기다는 점, 성장속도가 빠르고 번식을 잘한다는 점이 잡초가 계속 보이는 이유입니다.뿌리에 영양분을 많이 저장하고 있어 윗부분이 어느정도 손상되어도 다시 자라날 수 있습니다.그리고 완전히 뽑아낸다해도 뽑아내는 과정에서 씨앗을 뿌리며, 이미 흙에는 많은 씨앗이 뿌려져 있을것입니다.
Q.  이거 동네에 갑자기 많이 보이던데 무슨벌레인가요????????
안녕하세요.최근 많이 나타나고 있는 러브버그 입니다.우단털파리속에 속하는 곤충인데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턴가 이맘때쯤 많이 발생하고있습니다.산림파괴와 지구온난화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합니다.많아서 징그럽게 느껴지긴 하지만 물지도 않고 독도 없어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고 합니다.성충의 수명이 일주일정도라 지금처럼 많이 발생하는 현상은 약2주 지속되고 곧 사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