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강한텐렉153
완강한텐렉153

야외에 나와 해를 보면 재채기를 하는 이유?

야외로 나와서 해를 보면 재채기가 나오는 이유는 뭔가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인지 저는 해를 보면 재채기가 나오는데 단순 반응인지 알러지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를 보았을 때 재채기가 나오는 현상은 아마도 누구나 경험해봤을 일이라 생각됩니다. 이 현상은 광선 유발 재채기 반사 또는 Achoo 증후군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재채기 반사는 밝은 빛을 볼 때 눈의 삼차 신경이 자극받아 발생합니다. 삼차 신경은 눈뿐만 아니라 코에도 신경을 분포하고 있어서, 이 신경이 빛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뇌가 이를 잘못 해석하여 재채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해를 보면 재채기가 나오는 현상은 일명 "태양재채기"라고 불리며, 일부 사람들이 태양 또는 강한 빛을 바라볼 때 재채기 반사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눈을 자극하는 빛이 비각막 신경을 자극하여 비각막 신경이 코와 연결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재채기는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에 따르면 약 10~35%의 사람들이 이 현상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태양재채기는 무해하며 주로 불쾌함을 유발할 뿐입니다.

  • 해를 보고 재채기가 나오는 현상은 '햇빛 재채기 반사(Photic Sneeze Reflex)'라고 불리는 유전적 특성입니다. 이는 단순한 알러지 반응이 아니라, 뇌의 시각 경로와 재채기 반사 경로 사이의 교차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밝은 빛이 눈으로 들어오면 시신경을 자극하고, 이 자극이 재채기 반사 경로를 활성화시켜 재채기를 유발하게 됩니다. 이 반응은 약 18-35%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해를 보고 재채기가 난다고 해서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생리 반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저도 밖에서 강한 햇빛을 보면 재채기가 나는데요.

    이런 현상은 세계 인구중 약 20%정도의 사람에게서만 나오는 특징이라고 합니다.

    빛 재채기 반사 혹은 아츄증후군 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재채기 반사가 일어나는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유전되는 형질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고, 상염색체에 존재하며 우성유전됩니다.

    일반적인 가설은 '삼차신경반사'와 '부교감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의 두가지가 잇습니다.

    삼차신경반사는 눈, 비강, 턱 세부분으로 나누어진 두개골에서 가장 복잡한 신경인 삼차신경이 있는데,

    강한 빛이 들어올 때 동공을 수축시키도록 하는 시신경과 코가 가려운 감각을 감지하는

    삼차신경 부분이 교차하고 있어 강한 시각자극이 코의 가려움과 재채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입니다.

    부교감 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은 하나의 자극이 다른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강한 빛을 받아 동공이 수축하면 코점막의 신경계도 함께 활성화되어 재채기가 나온다는 가설입니다.

  • 모든 사람들이 해를 보면 재채기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5%가 갑자기 밝은 빛을 보거나 눈부신 햇빛을 보면 재채기가 나온다고 하는데요, 이는 '빛 재채기 반사'라고 불립니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두 가지 가설은 '삼차 신경 반사'와 '부교감 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입니다. 삼차 신경 반사는 눈과 비강, 턱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 두개골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신경인 삼차신경 때문에 생긴다는 가설이며, 동공을 수축시키는 시신경과 코가 가려운 감각을 감지하는 삼차신경 부분이 교차해 강한 시각 자극을 받으면 삼차 신경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두 번째 가설인 부교감 신경의 일반화에 의한 현상은 부교감 신경은 다양한 자극으로 반응하고, 하나의 자극이 다른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기도 하는데요, 때문에 강한 빛을 받아 동공이 수축하면, 코 점막과 같은 다른 부분의 신경계도 함께 활성화되어 재채기가 나올 수 있습니다.

  • 해를 보면 재채기가 나오는 현상을 광반사 재채기라고 부른다고 하는데요, 이에 관련해 현재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몇가지 추측은 있습니다.

    첫째는 밝은 빛을 보게되면 동공이 수축하게 되고, 동공의 크기를 줄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비강 내 감각 신경이 자극되어 재채기가 나온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둘째는 강한 빛이 시신경을 자극하여 눈물이 나오면 그 눈물이 콧속으로 들어가 코안을 간지럽히며 재채기가 나온다는 가설입니다.

    두 가설 모두 가능성이 있어보이는데 질문자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