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후천적으로 발달한 것도 유전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후천적으로 얻게 된 형질은 일반적으로 유전되지 않습니다.생식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이 아니라면, 체세포에 변화된 유전자는 생식세포에 전달되지 않습니다.체세포와 생식세포는 바이스만장벽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습니다.운동 선수들의 자녀들의 운동신경이 뛰어난 것은, 운동 선수인 부모들의 선천적인 골격과 근육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이 영향을 줄 수 있고, 또 그들 주변의 환경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데, 부모와 비슷한 환경(운동신경 발달에 도움이되는)에서 생활할 것 이므로 운동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 발현이 활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지 않는 유전자는 억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운동량, 먹는 음식, 생활주기 등 다양한 환경요소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줍니다.
Q. 광홥성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걸까요?
안녕하세요.광합성은 식물이 세포안의 엽록체에서 빛에너지 사용해이산화탄소와 물을 포도당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광합성과정은 굉장히 복잡한 과정인데, 간단히 설명하면빛과 물이 있으면 엽록체 내에서 ATP와 NADPH가 만들어지고, 부산물인 산소가 방출됩니다.빛이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자를 들뜨게 하고 ATP와 NADPH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합니다.(광합성의 동력은 빛)이때 전자는 물에서 빼앗아 온 전자입니다.(물이 있어야 전자공급 가능)이 산물들을 켈빈회로과정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결합시키고 여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도당으로 합성합니다.광합성은 충분한 빛, 물,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면 일어납니다. (광합성에서 빛 에너지가 동력이며, 결국 최종산물인 포도당이 가진 화학적에너지는 빛에서 온 것입니다.)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저장할수 있는 에너지원(포도당)을 생산하여 저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산소가 부산물로 얻어지고 배출됩니다.
Q. 생물을 분류할 때는 어떤 방법을 쓰나요?
안녕하세요.생물을 분류할 때 분류학에서 역-계-문-강-목-과-속-종 으로 그룹화를 할 수 있고, 각 생물들간의 계통을 알아내어 각 종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이런 분류에는 생물의 형태적 특징, 생리학적 특징, 유전적 특징 들이 고려되고, 서식지나 생활사 같은 생태학적 특징과 행동적 특징도 참고될 수 있습니다.형태나 생리학적인 특징이 비슷하면 서로 가까운 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유전적으로 멀어도 형태나 생리학적 특성이 비슷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도 병행하여 더 정확하게 분류하고 유연관계를 특정지을 수 있습니다.
Q. 식물은 어떻게 분류할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식물도 다른 생물들과 같은 분류 체계로 역-계-문-강-목-과-속-종 의 분류 단계로 묶을 수 있으며,각 종의 생리적, 외형적, 유전적 특징을 고려하여 동정하고 분류합니다.외형에서 주로 고려되는 큰 특징은 관다발유무, 종자유무, 씨방의유무,떡잎의 수 등입니다.이후 잎의 구조, 잎의 모양,잎의 배열, 꽃의 구조, 꽃의 배열 등을 고려하여 각 그룹에 묶을 수 있습니다.계통관계는 식물의 구조의 복잡성 비교와, 유전자 서열을 비교하여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