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모든 생물은 어떻게 팔과 다리가 짝수로 대칭으로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많은 동물이 대칭형인 것은 발생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발생학 중 형태형성에 관한 이론들이 있습니다.이런 대칭성은 물리학적인 이유에서 발생합니다.발생과정 중 특정 형태로 분화하게하는 모르포겐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모르포겐에는 BMP, Wnt, Nodal, tshh등이 있습니다.모르포겐은 농도에 따라 형태의 형성을 조절합니다. 그리고 발생원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농도기울기를 형성합니다.발생 초기에 난자가 난할을 진행하다가 포배강(공모양의 세포배열, 안쪽에는 액체가 있는 상태)을 형성하고원구가 생기며 낭배강을 형성합니다.이때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의 구획이 나누어지고 각 배엽이 신체의 부분으로 발생을 진행합니다.각 배엽에 따라 분화할 조직은 정해져 있습니다.이후 빨대처럼 중간이 1자로 뚫린 구조를 가집니다.이 시점에서 생물의 위 아래가 결정되고세로방향의 축이 결정됩니다. 이 과정은 shh가 관여합니다.세로방향으로는 신경관이 발달하게되며 이곳을 중심으로 특정 모르포겐들이 생성됩니다.이는 팔다리의 발달 등을 조절합니다.중심에서 확산되어 퍼지게되므로 좌우 비슷한 농도구배를 형성합니다.또 중심부의 고농도 모르포겐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도 좌우로 전달되므로생물은 대칭으로 발달하게됩니다.중추신경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이 되므로 동물의 사지의 갯수는 주로 짝수개가 됩니다.물론 모든 모르포겐이 대칭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발생과정에서 큰 틀은 대칭성을 가지게 합니다.좌우대칭은 발생의 과정에서 설명이가능하고,기능적인 면에서도 여러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에 이런 발생과정은 계속 전달되며 유지되어 왔을것으로 생각됩니다.
Q. 모기는 아예 멸종 시킬 수 없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모기를 멸종시키기 위한 방법은 많이 연구되고있고 최근에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으로 멸종이 가능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다만 세계적으로 실시를 망설이는 이유는 모기가 새, 박쥐, 개구리, 거미, 잠자리, 물고기 등의 주요 먹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모기가 멸종하면 모기를 먹고 사는 생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또 몇몇 꽃은 모기가 수분하는데, 특히 초콜렛 원료인 카카오꽃은 모기에 의해 수분된다고 합니다. 모기가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주로 먹이로써)때문에 멸종시켰을 시 일어날 결과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선뜻 시도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