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는 어떤 동식물들이 사나요?
안녕하세요.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을 하구라고 합니다. 바다로부터 해수가 유입되고 동시에 담수와 퇴적물이 유입됩니다. 그래서 물과 퇴적물에 영양염이 높아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합니다. 이는 식물이 잘 자라고 먹이가 많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한강 하구에서 서식하는 동식물만 들어도 종이 꽤 많습니다. 한강하구에는 큰 버드나무 군락이 있고, 보리수나무, 좀작살나무, 솔이끼 등 다양한 식물이 자랍니다.게나 조개같은 생물과 물고기가 많고, 이를 먹는 다양한 새들이 있습니다.고라니를 포함한 포유류 10종도 발견되며 다양한 철새들이 머무르게 됩니다.낙동강하구에도 꽃댕강나무, 가시나무, 사철나무 등의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고고니 쇠기러기 청둥오리 등의 철새 등을 볼 수 있습니다.
Q. 바이오 프린팅 기술과 그 활용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바이오프린팅은 3D프린터의 원리로 입체적으로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내는데, 일반적인 3D프린터가 사용하는 물질 대신 세포와 세포외기질을 사용하여 프린팅 합니다. 세포분열만으로 우리 몸의 특정 구조를 만들기는 힘든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3D 바이오 프린팅이 이용됩니다.콜라겐 같은 세포외기질로 3D형태를 프린팅하면서 동시에 세포를 첨가하면서 프린팅합니다.이를 배양하고 세포를 분화시키면 해당 모양을 유지하고 우리몸의 장기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해당 장기의 기능을 할 수 습니다. 귀의 연골을 3D프린팅으로 만들어 소이증환자에게 이식한 사례도 있고, 두개골결손이 발생한 환자의 두개골의 빈 부분을 3D프린팅으로 결손된 부분과 딱 맞는 임플란트를 만들어 이식하기도 했습니다.의료 분야 말고도 3D바이오프린팅이 사용되는 것은 배양육 분야입니다.기존 배양육은 근육조직까지 만들수는 있지만 모양은 만들수 없어서 분쇄육만 상용화되는 한계가 있었는데, 3D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해 실제 고기와 비슷한 모양으로 배양할 수 있어 배양육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