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왜 계절마다 다르게 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봄에 피는 꽃, 여름에 피는 꽃, 가을에 피는꽃 이렇게 모두 다르게 피더라구요~ 그런데 꽃은 왜 계절마다 다르게 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식물들은 온도나 낮밤의 길이를 기준으로 꽃을 피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래서 매번 같은 계절에 꽃을 피울 수 있는데요.
여러 종들의 식물이 서로 꽃피는 시기가 다른 것은 종족보존에 유리합니다.
같은 시기에 모두 꽃이피면 수분을 매개하는 곤충이나 영양분에서 다른 식물들과 경쟁해야하기 때문에
이런 경쟁을 피하기 위해 꽃이 피는 시기가 달라진것이 고착화 된것으로 보입니다.
또 특정 식물은 특정 곤충을 선호하는데 이런 곤충이 깨어나 활동하는 시기에 꽃을 피움으로써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꽃 피는 시기가 다른 주된 이유는 각기 번식의 시기가 다르기 때문으로 알려져있는데요, 여러 자연 환경에 적응한 생물이 봄, 여름, 가을, 겨울 등에 걸쳐 꽃을 볼 수 있도록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어서입니다. 봄에 피는 꽃은 겨울 동안에 저장했던 양분을 이용해 꽃을 피우며, 꽃이 피는 시기가 지나면 열매가 생겨나므로 이 시기에 꽃들은 번식을 합니다. 반면에 여름에 피는 꽃은 곤충들의 도움이 많이 필요한 꽃들이며 번식을 위해 곤충들이 꽃가루를 옮겨다주길 기다리는 것입니다. 가을에 피는 꽃은 낮이 짧고 밤의 길이가 길 때 피는 단일식물이 많고, 대부분 열매가 없는 꽃들이 주를 이루는데요, 이는 가을 동안 꽃을 유지하는 데 양분을 모두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꽃을 포함한 식물들은 낮과 밤의 길이, 온도 등 여러 요인들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꽃들은 본인이 필 때를 선택하게 됩니다. 또한, 꽃들은 ACG1/FVE라는 개화 시기 유전자에 따라 개화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꽃이 계절마다 다르게 피는 이유는 식물의 생존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각 식물은 자신의 생식 과정을 가장 유리한 시기에 맞추어 진화해왔기 때문입니다.
봄에 피는 꽃들은 겨울을 나기 위해 휴면했다가 기온이 올라가면서 개화하는데, 이는 충분한 물과 양분을 얻을 수 있고 화분 매개체도 많아 수분 받이가 용이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여름꽃은 고온다습한 환경에 적응해 번식하며, 가을꽃은 서늘해지면서 피어나 다음 세대를 위한 씨앗을 맺습니다. 이처럼 꽃가루 매개체의 활동, 기온, 강수량 등의 계절적 요인에 맞춰 최적의 개화시기를 갖게 된 것입니다.
꽃이 피는 시기가 꽃마다 제각각인 이유는 바로 유전자에 비빌이 숨겨져 있습니다.
평소 꽃이 피지 않는 시기에는 꽃을 피우는 유전자가닥이 히스톤단백질에 둘둘 말려있어 유전자가 풀어헤쳐지지 않고 전사 및 번역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비활성화 되어있는 상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히스톤 단백질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특성이 있는데, 주변 기온변화에따라서 히스톤 단백질의 형태나 결합상태가 변화하고 이 유전자가 풀어헤쳐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꽃을 피우게 하는 유전자가 풀려나며 전사 번역과정을 거치고, 꽃이 피어나는 단백질을 만들어내어 활짝 펴지게 만듭니다.
이러한 모습은 식물의 종류마다 다르고 온도에따라서 반응하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에 꽃이 피는 시기가 제각각입니다.
이렇게 피는 시기가 제각각인 이유는 꽃의 수분은 보통 벌과같은 곤충의 도움을 받게 되는데, 시기를 달리하여 벌이 수분을 도와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꽃이 계절마다 다르게 피는 것은 주로 각 식물이 진화 과정에서 최적의 생존 전략을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식물은 특정 시기에 꽃을 피워 씨앗을 만들고, 이 씨앗이 성공적으로 발아하고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조건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채택합니다. 이러한 조건은 주로 기후, 온도, 일조량, 강수량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