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DNA와 RNA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DNA와 RNA는 둘 다 염기-당-인산으로 구성된 뉴클레오타이드를 단위체로 하는 유전물질입니다.DNA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 4종의 염기를 가지며RNA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과 우라실로 구성된 4종의 염기를 가집니다.당부분은 DNA는 디옥시리보오스, RNA는 리보오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NA는 뉴클레오타이드가 이어져있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2가닥으로 구성되어 서로 상보적 결합을 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가집니다. RNA의 경우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한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DNA는 RNA보다 더 안정적이며 비교적 잘 변형되지 않습니다. 세포로 구성된 생물들은 유전 물질로 DNA를 사용합니다.세포내에서 RNA는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RNA는 DNA로 암호화되어있는 유전형질을 전사해 단백질로 번역하는 과정의 전달체로 사용되기도 하고 유전물질을 자르는 등의 효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단백질 번역시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운반체 등의 기능을 할 수도 있습니다.바이러스의 경우 D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이 살아가면서 유전자가 바뀔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간도 살아가면서 유전자가 다양한 이유에 의해 바뀌게 됩니다.자외선, X선, 바이러스 혹은 세포 복제시의 오류 등은 유전자를 변하게 하는 요소에 속합니다.세포내의 유전자는 변이가 일어나면 수정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완벽하지 않으며 변이된 후 그대로 남는 유전자도 존재하게 됩니다. 발생의 아주 초기에도 이러한 변이는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란성 쌍둥이라도 아주 약간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태어나기도 합니다.생식세포에 발생하는 돌연변이는 원래 없던 형질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는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이는 진화를 일으키는 다양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물론 이런 돌연변이는 항상 좋은 특징만을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종종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변이가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유전자는 시간이 지나 세대를 거치면서 집단 내에서 높은 비율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런 차이점이 누적되면서 진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물론 존재하던 형질의 유전자가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발현될 수 없게 파괴될 수도 있습니다. 이 형질이 현재 주어진 환경에서 없어도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혹은 없는 것이 더 유리하다면 세대를 거듭하다 보면 이 유전자를 가지지 않는 개체의 비율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 역시 진화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빌라 입니다. 이 맘때쯤 계속 오는 커다란벌 이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의 벌은 왕바다리(쌍살벌)로 추정됩니다. 왕바다리는 나방 유충과 같은 애벌레들을 주로 사냥해 먹습니다.벌집은 주로 건축물의 하부에 짓기 때문에 도심에서 관찰되기 쉽습니다. 군집은 다른 벌 종류에 비해 작은 편이며 여름에 가장 수가 많고 다양한 먹이를 사냥합니다. 특히 10~11월이 되면 짝짓기철이되며 짝짓기가 끝난 숫벌들이 죽기 때문에 죽은 개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말벌에 비해서는 덜 공격적인 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형태학적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둘 다 구과목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종입니다.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의 가장 큰 차이는 소나무의 경우 갈라진 가지의 잎집에서 잎이 자라나지만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나무의 중심줄기에서도 솔잎이 자란다는 것 입니다.또한 소나무의 경우 잎이 2개씩 모여나고, 리기다소나무는 잎이 3개씩 모여납니다. 소나무는 수피가 붉은색을 띠지만 리기다소나무는 수피가 갈색에 가깝고 소나무에 비해 송진이 많이 나옵니다.리기다소나무는 소나무에 비해 가지가 옆으로 넓게 뻗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오는날에 화단에서 달팽이를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달팽이는 알에서 태어날 때부터 껍질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다만 처음에는 달팽이의 크기만큼 작고 안이 비칠만큼 얇으며 단단하지 않습니다.달팽이가 알에서 나올 때 알껍질을 먹으면서 나오는데 알껍질에서 얻는 영양소로 껍질을 강화합니다.이후 껍질은 달팽이가 먹는 먹이에 포함된 칼슘과 단백질을 점액질로 공급받으며 크기가 커집니다. 껍질의 안쪽에는 달팽이의 주요 내장기관이 위치합니다. 달팽이 이지만 껍질이 없는 민달팽이는 껍질을 가진 달팽이와 다른 종들이며 껍질이 있는 달팽이들의 껍질이 있는 자리에 얇은 외투막 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정자형성 과정 중 정원세포 제1정모세포에 관해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정원세포 > 제1정모세포 되는 과정이 그냥 복제하는 과정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정원세포는 일종의 줄기세포입니다. 계속해서 체세포 분열을 진행해서 수를 늘리고 제1정모세포를 공급합니다.정원세포가 체세포분열하여 충분한 정자를 생성할만큼 세포 수가 늘어나면 감수분열로 진행합니다.체세포 분열 중 세포질 분열까지 완료되면 두 개의 정원세포가 되고체세포 분열 중 세포질 분열을 진행하지 않고 감수분열로 진행될 세포는 제1정모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원세포 > 제1정모세포가 체세포 분열로 되어있는데이는 제1 정모세포가 되는 감수분열 준비단계가 체세포분열 주기에서 간기와 패턴이 같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체세포분열과 다른 점은 간기의 G2기가 없고 이후 감수분열 과정이 진행됨)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옥수수는 광합성을 어떤 과정을 통하여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옥수수는 대표적인 C4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C4식물은 더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C4 식물에는 옥수수를 비롯해서 다양한 아열대 및 열대 식물이 속합니다.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조, 강아지풀 등이 속합니다. C3식물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식물이 속합니다. 벼(열대성이지만 C3), 밀, 보리, 떡갈나무, 참나무, 돼지풀 등이 속합니다.CAM식물은 사막과 같은 매우 건조하고 낮밤의 환경이 매우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입니다. 파인애플, 선인장, 돌나물 등이 속합니다. 이들은 주로 두꺼운 큐티클 층을 가지며 두꺼운 다육질 구조를 가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폰노이만 같은 슈퍼 천재가 자주 등장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구에 인간만큼 높은 지능을 가진 종들이 없지만 그래도 각자 번성하고 있는 것처럼높은 지능은 생존하기위한 여러 수단 중 하나일 뿐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높은 지능이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단내 모든 개체의 지능이 높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예를 들어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의 아이디어로 먼 미래의 집단의 생존을 높힐 수도 있겠지만,당장을 살아가는 데에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든 둥글다고 생각하든 큰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지능의 경우도 다양한 유전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따르며 평균에 가까운 값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치합니다. 상위를 차지하는 사람의 비율은 매우 적습니다.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이 더 자주 등장하려면 높은 지능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여 지능의 평균값이 높아야 합니다.뇌는 몸에서 에너지를 매우 많이 소모하는 기관이며 높은 지능은 더 밀도높은 신경세포를 요구하고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인간이 높은 지능을 가지고 발전하여 생존할 수 있는 이유는 높은 지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원(열량)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뇌는 일반적으로 체중의 약2%를 차지하지만 하루 섭취하는 에너지의 25%를 소모합니다.진화과정에서 인류의 뇌의 발달은 불의 사용으로 음식을 익혀 먹어 더 쉽게 분해하여 많은 영양분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그래서 어떤 환경에서는 높기보다 적당한 지능이 생존에 더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지능은 완전히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같은 환경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뛰어난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환경조건이 맞지 않는다면 높은 지능으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발휘하여 집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드물게 천재가 나타난다 해도 혹은 나타나지 않더라도 서로의 협력으로 환경문제와 같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대부분의 뱀은 독을 가지고 있는데요 같은 종끼리 서로 싸우다가 독에 중독되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독사는 자기 자신의 독에 대해서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동종의 뱀에게 물리는 경우는 실제로 자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한 뱀이 동일 지역의 동일한 종, 즉 완전히 동일한 종의 뱀에게 물렸다면 자신의 독과 같은 종류의 독이 주입되었을 것이기에 이를 해독할 수 있으며 독에 의해 죽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다만 독을 해독할 뿐 아예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독할 수 있는 양 이상의 독이 주입되는 경우 매우 드물지만 죽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기 인형에서 기어가고있는거 발견했는데 이게 무슨 벌레일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4쌍의 다리와 모양 그리고 작은 크기로 보아 진드기가 맞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인형에도 진드기가 번식할 수 있습니다.진드기가 발견된 인형 뿐 아니라 베개나 이불같은 침구류에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55~66도 이상의 물로 온수세탁하거나 건조기를 사용해 열건조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물리적으로 두드려 터는 것과 스팀다리미를 사용하는 방법도 진드기를 많이 죽일 수 있습니다.평소에 진드기 퇴치제를 사용하고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면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집에 산책을 나가는 반려견을 키우고 계신다면 산책 후 반려견에 몸에서 발견되지는 않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