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바이오로지컬
바이오로지컬

옥수수는 광합성을 어떤 과정을 통하여 하나요??

옥수수는 c3 c4 cam 광합성방법이 있는데 어떤 탄소순환 방법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각각의 탄소순환법으로 생장하는 식물 2~3개씩만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옥수수를 포함한 식물들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생장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탄소 고정 방식에 따라 C3, C4, CAM 식물로 분류됩니다.

    C3 식물은 캘빈 사이클이라는 단일한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고정합니다.

    광합성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고온 건조 환경에서 광호흡이 발생하여 광합성 효율이 더욱 떨어집니다. 하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종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콩, 밀, 벼, 콩, 사과, 배 등 대부분의 식물이 C3 식물입니다.

    C4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먼저 4탄당 화합물로 고정한 후 캘빈 사이클로 이동시켜 포도당을 합성합니다.

    C3 식물에 비해 광합성 효율이 높고, 고온 건조 환경에서도 광호흡이 적어 생육이 유리합니다.

    대표적으로 말씀하신 옥수수와 사탕수수, 수수, 기장 등 열대 지방의 곡물들이 대표적입니다.

    CAM 식물은 밤에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아 수분 증발을 막고 고정된 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진행합니다.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하지만, 생장 속도가 느립니다.

    대표적으로 선인장, 다육식물 등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들이 대표적입니다.

    옥수수의 경우 C4 식물에 속하기 때문에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C4 식물은 탄소 고정 효율이 높아 같은 면적에서 더 많은 양의 탄수화물을 생산할 수 있어 식량 작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옥수수는 C4 광합성을 통해 탄소를 고정하는데요, C4 광합성은 일반적인 C3 광합성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어, 고온과 건조한 환경에서 특히 유리합니다. 옥수수 외에도 여러 식물이 C4 광합성을 사용합니다. 우선 C3 광합성은 루비스코(Rubisco) 효소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3탄당인 3-포스포글리세르산을 형성합니다. 이 과정은 대부분의 식물에서 발생하며, 온화하고 습한 환경에서 효율적입니다. 예시로는 밀, 쌀, 대두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C4 광합성은 먼저 메슬포르자산(C4 화합물) 형태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이후 엽록체에서 이산화탄소를 다시 방출하여 루비스코에 의해 C3 경로로 전달합니다. 이 과정은 고온과 강한 햇빛 조건에서 효율적입니다. 예시로는 옥수수, 사탕수수 등이 있습니다.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 광합성은 밤에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낮에 그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수분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시로는 선인장, 파인애플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옥수수는 대표적인 C4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C4식물은 더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C4 식물에는 옥수수를 비롯해서 다양한 아열대 및 열대 식물이 속합니다.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조, 강아지풀 등이 속합니다.

    C3식물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식물이 속합니다. 벼(열대성이지만 C3), 밀, 보리, 떡갈나무, 참나무, 돼지풀 등이 속합니다.

    CAM식물은 사막과 같은 매우 건조하고 낮밤의 환경이 매우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입니다.

    파인애플, 선인장, 돌나물 등이 속합니다. 이들은 주로 두꺼운 큐티클 층을 가지며 두꺼운 다육질 구조를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옥수수는 C4 광합성 경로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진행합니다. C4 식물은 고온 및 건조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화하였습니다.

  • 옥수수는 C4 광합성 방법을 통해 광합성을 진행하며, 이 과정은 고온과 강한 빛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할 수 있게 합니다. C4 식물에는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등이 있으며, C3 광합성은 일반적인 광합성 방식으로 벼, 밀, 콩과 같은 식물이 해당됩니다. CAM 광합성은 건조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방식으로 선인장, 파인애플, 돌나물 등이 이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