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깨끗한 물의 접근성 문제에 대하여 질문
안녕하세요.지구에는 물이 많지만 대부분이 해수라 마실수 없는 물이며지상에 존재하는 물은 2.8%인데 대부분 빙하로 존재하여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하천이나 지하수의 물은 1%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그래서 1%의 물이 오염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물은 오염되었을 때, 정화하려면 오염된 물의 수십배의 물이 필요합니다.그래서 물을 최대한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하수를 내보낼 때 최대한 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기름이나 음식물 찌꺼기를 하수에 섞어 배출하지 않아야 하며공장과 같은 시설에서는 폐수를 엄격하게 정화해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또 물을 정수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 상용화 되는 것도 물자원을 지키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구역 설정에 대하여 질문
안녕하세요.바다에는 굉장히 많은 종의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인간의 활동이 바다에서도 활발히 일어나면서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해양은 다양한 식량자원의 원천이며, 지구의 산소의 절반을 생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해양 생태계 보호구역 설정은 이런 해양자원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해당 구역에서의 인간 활동을 제한합니다.그래서 해양생태계가 유지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이익을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게된 진짜 이유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이유는 아직도 여러 논쟁이 있습니다.호모 사피엔스와의 서식지 경쟁에서 밀리고, 번식 속도도 호모 사피엔스가 빨랐다고 보고 있습니다.호모 사피엔스의 활동범위 증가로 인해 좁아진 서식지와 기후변화가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의 원인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다만 현생인류의 유전자에 5%정도의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는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교배를 했다는 증거가 됩니다.그래서 수가 적어진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에 흡수되어 멸종되었다고 보는 가설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이 멍을 때리게 되는경우 뇌는??
안녕하세요.뇌가 멍 때리는 것은 뇌가 잠시 휴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뇌가 휴식을 취할 때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라는 뇌의 부위가 활성화 됩니다.보통 잠을 잘 때 활성화 되는 부분인데, 멍 때릴 때도 이 부분이 활성화 됩니다.하루에 15분 정도 멍 때리는 것은 뇌를 쉬게 해주기 때문에 뇌의 기능을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충 식물 들한테 사람이 먹는 음식을 주면 어찌되나요?
안녕하세요.식충식물은 주로 감각모로 먹이가 들어온 것을 인식합니다.감각모를 건드리는 정도가 늘어나면 덫을 닫아서 곤충을 가두는 식으로 사냥을 합니다.말씀하신 것처럼 꼭 곤충이 아니더라도 감각모를 건드리기만 하면 덫을 닫습니다.식충식물은 곤충의 단백질을 소화하여 흡수 하는 육식식물이기에큰 식충식물은 종종 개구리나 쥐를 잡아 먹기도 합니다.사람이 먹는 음식중에 고기를 잘라서 넣고 감각모를 건드려주면 덫을 닫고 소화액을 내보내 소화 후 흡수할 수 있습니다.
2762772782792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