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척추동물 중에서 무성생식을 하는 동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무성생식은 척추동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현상이지만, 몇몇의 생물에서는 일어나는 일입니다.다만 무성생식이 가능해도 짝짓기가 가능하나 상황이면 짝짓기을 우선합니다.수컷과 접촉하지 않은 코모도왕도마뱀 암컷이 알 25개를 낳은 것이 관찰되어 코모도왕도마뱀이 무성생식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부화한 새끼들의 유전자 검사 결과 DNA가 알을 낳은 암컷과 99.9% 일치했다고 합니다. 암컷 레오파드 상어만 있는 수족관에서 새끼 상어가 발견되어 일부 상어들도 무성생식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캘리포니아콘도르, 미국악어 등에서도 관찰되었습니다.다만 이런 척추동물의 무성생식은 모두 암컷 개체에서만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 단성생식이라고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신경세포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신경세포는 크게 나누면 핵이 위치한 세포체와 길고 가늘게 뻗어나가는 축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신경세포는 전기적인 신호전달 방법과 화학적 신호전달을 사용하는데, 전기적인 신호전달은 한 신경세포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달이고, 화학적 신호전달은 한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전기적 신호전달신경세포는 활동하지 않을 때 휴지전위를 가지는데 세포막에 있는 Na+/K+ 펌프가 작동하며 ATP를 사용하여 나트륨 이온을 세포밖으로, 칼륨이온을 세포안으로 이동시킵니다. 이 때문에 세포막을 사이로 전위차가 발생합니다.신경세포에 자극이 들어오면 탈분극이 발생하는데, Na+ 채널이 열려서 세포 밖의 고농도 나트륨이온이 세포 내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세포 내부가 양전하로 바뀌며, 축삭을 따라 Na+채널이 순차적으로 열리면서 전기가 이동하는 효과가 생깁니다.-화학적 신호전달활동전위가 축삭을 통해 축삭말단까지 도달하면 신경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됩니다.신경전달물질은 다른 신경세포의 세포체로 전달하여 다음 신경세포에서 막전위 변화를 유도하여 활동전위를 생성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급성기관지염을 치료하는 약 만들기(효소저해제)
안녕하세요.급성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어 급성기관지염 자체를 치료하지 않고 몸의 면역계가 스스로 치료하게 하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을사용합니다.급성기관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항바이러스제의 관점에서 생각해야하지만만약 염증을 줄여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나는 기작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염증반응 중간의 매개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약물을 만드는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COX-2, iNOS, TNF-알파, GM-CSF, 인터류킨-1, IFN 등이 염증매개물 생성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효소들입니다.또 기존에 저해제가 있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억제하여 효과가 다른 저해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COX1, COX2 저해제는 다양한 약물이 개발되어 있지만 각 약물의 성능이 다릅니다.각 약물의 효과나 부작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효과가 더 좋지만 부작용은 적은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 방향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COX1은 염증반응 말고도 혈액응고에 관여하기 때문에 COX1억제는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일반적으로 딱풀의 원료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딱풀은 주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합성고분자물질이 사용된다고 합니다.피부에 묻어도 크게 문제가 없고 물로 잘 씻겨나갑니다.인체에 무해하지만 섭취하지는 않는 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가 클수록 광합성도 많이 해야할 거 같은데 큰나무는 나무잎도 큰편인가요?
안녕하세요.통계에 따르면 키가 큰 나무들은 평균 10~20cm의 잎을 가진다고 합니다.오히려 키가 작은 나무들의 잎의 크기가 다양하다고 합니다.잎의 크기는 나무의 크기보다 해당 종의 나무가 주로 서식화는 환경에 의해 제한된다고 봅니다.강수량 일사량 밤낮의 기온등에 의해 식물의 잎 크기가 결정된다고 보는데,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의 나무는 보통 큰 잎을 가지는 종들이,반대로 사막환경에는 잎이 작은 종이 많습니다.키가 작아 그늘진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클 경우 햇빛을 최대한 받기위해 큰 잎의 종들이 우세할 수 있습니다. 키가 큰 나무의 잎이 10~20cm 의 좁은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에 대해서는 식물의 잎이 너무 작거나 크면 수액의 흐름이 제한되기 때문이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2762772782792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