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세포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 설명해주세요.
신경세포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알고싶어 질문남깁니다.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신경전달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부탁드립니다. 전기신호와 화학신호가 각각 어떻게 작용하는지로 자세히 알려주세요!
신경세포는 전기적 및 화학적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합니다. 신경세포의 세포체에는 돌기들이 있는데, 수많은 가지친 돌기인 덴드라이트가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고, 긴 축삭 돌기를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전기신호는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이온의 이동으로 발생하며, 이 신호가 축삭을 따라 전파되어 신경전달물질이 있는 시냅스 전구체에 도달합니다. 이후 화학신호인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간극을 가로질러 다음 신경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기신호와 화학신호가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뇌와 신경계 전반에 걸쳐 정보가 원활히 이동하고 처리될 수 있습니다.
신경계는 약 10%의 신경세포와 90%의 신경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신경세포는 '뉴런'이라고 하는데요, 하나의 신경세포 내에서는 전기적 신호 전달을 통해 자극을 전달합니다. 신경세포의 구조는 세포핵과 세포소기관이 위치하는 신경소포체, 그리고 신경소포체 말단 부분에서 자극을 수용하도록 돌출되어있는 짧고 여러 개인 가지돌기(수상돌기), 하나나 두 개 정도의 긴 형태를 지닌 축삭 돌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의 뉴런과 다른 뉴런 간의 신호 전달은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진행이 되는데요, 하나의 뉴런과 다른 뉴런 사이의 틈을 '시냅스'라고 부릅니다. 이때 시냅스 앞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뉴런은 '시냅스 전 뉴런', 신호를 받아들이는 뉴런은 '시냅스 후 뉴런'이라고 합니다. 시냅스 전 뉴런의 축삭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들어있는 시냅스 소낭이 세포막과 융합하면서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로 방출이 되면, 시냅스 후 뉴런의 가지돌기에 위치한 수용체에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됩니다.
신경세포의 구조는 신경세포의 중심 부분으로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대사 활동이 이루어지는 세포체, 나뭇가지처럼 뻗어있는 구조로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수상돌기, 세포체에서 길게 뻗어나오는 부분으로 신경 신호를 다른 신경이나 근육을 전달하는 축삭, 축삭의 끝부분으로 신호가 다음 신경세포나 효과기에 전달되는 축삭 말단이 있습니다. 신경세포가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합니다. 전기적 신호가 축삭 말단에 도달하면 신호는 화학적 신호로 변환되어 다음 신경세포로 전달됩니다.
안녕하세요.
신경세포는 크게 나누면 핵이 위치한 세포체와 길고 가늘게 뻗어나가는 축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경세포는 전기적인 신호전달 방법과 화학적 신호전달을 사용하는데,
전기적인 신호전달은 한 신경세포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달이고, 화학적 신호전달은 한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적 신호전달
신경세포는 활동하지 않을 때 휴지전위를 가지는데 세포막에 있는 Na+/K+ 펌프가 작동하며 ATP를 사용하여 나트륨 이온을 세포밖으로, 칼륨이온을 세포안으로 이동시킵니다. 이 때문에 세포막을 사이로 전위차가 발생합니다.
신경세포에 자극이 들어오면 탈분극이 발생하는데, Na+ 채널이 열려서 세포 밖의 고농도 나트륨이온이 세포 내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세포 내부가 양전하로 바뀌며, 축삭을 따라 Na+채널이 순차적으로 열리면서 전기가 이동하는 효과가 생깁니다.
-화학적 신호전달
활동전위가 축삭을 통해 축삭말단까지 도달하면 신경세포 말단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됩니다.
신경전달물질은 다른 신경세포의 세포체로 전달하여 다음 신경세포에서 막전위 변화를 유도하여 활동전위를 생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