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생물은 눈이 퇴화되어 있다는데 발광생물은 왜 있나요?
안녕하세요.심해 생명체들은 빛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두가지 극단적인 방향으로 나누어 지는데,눈이 퇴화하고 다른 감각으로 주변을 인식하는 종들과눈이 굉장히 발달해서 아주 적은 빛으로도 인식이 가능한 종들이 있습니다.심해는 기준에 따라 깊이를 조금씩 다르게 두고 있는데생태학에서는 광합성을 할 수 없는 수심 200m 보다 더 아래를 심해로 봅니다.이보다 아래에서 빛은 99%흡수되어 인간의 눈으로는 암흑만이 보입니다.600m까지는 아주 미약하지만 빛이 도달하기는 해서이 구간의 심해생물들은 오히려 눈이 발달되어 아주 작은 빛으로도 볼 수 있는 종이 많습니다.그래서 빛을 내어서 먹이를 유인하는 아귀같은 생물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영화에 나오는 배양육이라는 고기는 인공적인데 어떤 재료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배양육은 동물근육의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만든 고기입니다.현재 배양육은 몇몇 나라에서 상용화 되어 판매되고 있는데요. 우리가 먹는 고기는 주로 동물의 근육입니다.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은 아니고 배양을 위해서는 해당 동물의 세포가 필요합니다.소고기를 만들고 싶다면, 소의 근육을 일부 채취한 뒤 근육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배양액에서 배양합니다.닭고기를 만들고 시다면, 닭의 근육을 일부 채취하여 근육줄기 세포를 분리하여 배양액에서 배양합니다.이는 실험실에서 하는 다양한 세포 배양 방식과 동일합니다.다른 고기들도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기존에는 고기를 얻기위해서 동물을 도축해야 했지만 배양육 방식은 동물의 일부 조직만 필요하기 때문에 도축으로 고기를 얻는 방식보다 윤리적입니다.근육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근육세포로 분화시켜 증식시키면 해당 동물의 근육과 동일한 고기가 됩니다.여기에 고기의 식감과 맛을 내는 지방과 같은 기타요소를 첨가하여 배양육을 완성합니다.기존에는 동물의 근육구조와 동일하게 만들 수는 없어서 햄버거 패티처럼 갈아서 만든 고기만 출시했지만최근에는 3D프린팅을 접목할 수 있어서 실제 고기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으로 동성애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동성애는 많은 문화권에서 비슷한 비율로 등장하기 때문에 인간의 일반적인 속성 중 하나로 생각됩니다.또한 다양한 동물들에게서도 관찰되기 때문에 생물체의 관점에서도 보편적인데요.생물학적 관점에서는 한 개 이상의 여러가지 유전자와 환경(후성유전학적 작용)이 함께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어찌되었든 이러한 속성도 어떤 이득이 있기 때문에 사라지지 않고 유지가 될 것으로 봅니다.이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가설들이 존재합니다.통계적인 연구에 따르면, 형제 중 동성애자가 있는 경우, 다른 여자형제에게서 태어난 자녀의 수가 많았습니다.그래서 관련된 유전자가 자녀를 많이 낳도록 유도하는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또 수렵채집 사회에서 어떤 집단에게 남성 동성애자가 있는 것은 유리한데,그룹의 남성들이 사냥을 나갈 때 남아 있는 여성들을 다른 그룹이나 위협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남자를 일부 남겨두고 가는 것이 유리한데 이 때 동성애자를 남겨두고 가면 이들이 자신의 배우자를 범할리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남겨둘 수 있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같은 맹금류들은 무리생활을 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무리생활을 하는 많은 종들은 포식자보다는 피식자의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무리생활은 주변에 포식자가 오는지 감시할 수 있는 눈이 많고, 한개체가 발견하여 도망을 시작하면 무리의 모든 개체가 일제히 도망가기도 합니다.또 무리가 많으면 자신이 잡아먹힐 가능성도 줄어듭니다.맹금류의 경우는 포식자중 거의 정상의 위치에 있으므로 무리생활에서 얻을 만한 이점이 별로 없습니다.게다가 주요 먹이가 설치류나 작은 새 등이므로 무리생활로 먹이를 나누는것은 손해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늑대나 사자같은 경우는 무리생활을 하지만 이들은 협동을 통해 사냥을 하고 무리의 새끼를 보호합니다.하지만 맹금류는 사냥방식은 이들과는 다르며 무리생활이 강제되지 않습니다.또 새끼를 기르는 방식도 둥지에서 암수가 번갈아 키우므로 여기에도 무리생활은 별다른 이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은 왜 혈흔을 무서워 할까요???
안녕하세요.사람들에게는 다수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두려워하는 공포의 요소가 있습니다.이는 유전적으로 전해지는 본능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거미나, 뱀, 혈흔, 어두운 장소 등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이런 것들은 주로 인간의 생존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요소입니다.거미나 뱀은 독을 가져 물리면 죽을수도 있고, 어두운 장소는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요소가 있을 가능성이 잇습니다.혈액은 몸 속에 있을 때 안전한 것이며 몸 밖으로 나올 경우 누군가 상처를 입었다는 증거가되고혈흔이 생길 상처를 남길 수 있는 적이 존재할 가능성을 가집니다.만약 뱀이나 거미 등을 무서워하는 본능이 없다면 뱀이나 거미에게 물려 죽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그러한 유전자는 후대로 전달되기가 어렵습니다.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