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전자(열성,우성) 질문있습니다
우선 우성과 열성은 대립유전자에서 발현순위가 우성 인자에 밀릴 뿐 생존에 있어서 열성인자가 딱히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잡종 Aa 의 자가수분으로 AA : Aa : aa 가 1:2:1 의 비율로 나오며우셩형질 띠는개체: 열성형질 띠는개체 =3:1이 맞지만,이것이 열성형질 유전자가 감소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3:1의 비율은 표현형만이며AA : Aa : aa 가 1:2:1 의 비율을 개체수에서 정확히 지킨다고 했을 때비율을 지킬수 있는 최저의 개체 수 는 4마리 이므로4마리의 유전자 형은 AA 1개, Aa 2개, aa 1개 이므로우성인자 A와 열성인자 a의 갯수비율은 A:a=1:1 입니다.우성의 표현형을 가지는 3마리 중에 2마리는 잡종이므로 a유전자는 사라진 것이 아니라 보존되어 있습니다.짝짓기가 무작위적으로 일어나고 개체수가 많을수록 이런 유전자 풀은 보존됩니다.(교배 무작위, 충분히 큰 개체군, 돌연변이 없음, 다른 유전자가 유입되지 않음, 자연선택없음 일 때)이런 현상은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으로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어떤 개체의 멸종은 유전자의 우성 열성 여부가 아니라 유전자의 표현형의 기능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에 적합한가에 따라 달라집니다.예를 들면 우성발현되는 유전병은 우성 형질이지만 생존에 불리하여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촉수가 있는 동물은 뭐가 있나요???
촉수는 연체동물, 자포동물, 극피동물 등에서 잘 발견됩니다. 촉수의 형태 기능 그리고 갯수는 종에따라 상이합니다.자포동물문에 속하는 생물들의 촉수는 자포라고 부르며 자포를 이용해서 사냥을 합니다. 말미잘, 산호, 해파리 등이 자포동물에 속합니다. 자포에는 일반적으로 독이 있으며 자포에 닿은 동물을 먹습니다.극피동물의 경우 촉수를 관족이라 하며,관족은 보통 먹이를 붙잡거나, 이동을 할 때 다리처럼 사용됩니다. 관족은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섭식, 보행, 호흡, 배설, 감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우리가 흔히 촉수하면 떠오르는 촉수는 주로 연체동물의 촉수입니다.흔히 오징어나 문의 많은 다리를 촉수라고 생각하지만 엄밀히 촉수와 구분됩니다.오징어의 경우 학술적으로 8개의 팔과 두개의 촉수를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흔히 오징어 다리가 10개라고 하는데 잘 살펴보면 두개는 형태 다릅니다. 8개는 주로 이동에 사용되며 나머지 두개는 다른 기능을 합니다. 8개의 다리에 빽빽히 빨판이 있는것과 다르게, 나머지 두개의 팔은 길이가 더 길고 끝 쪽에 빨판이 있습니다.이 두개의 촉수는 주로 먹이를 붙잡는 역할을 하며, 생식기로써 짝짓기에 사용되기도 합니다.문어의 경우 오징어에서 촉수로 발달한 부분이 반대로 퇴화해 사라진 경우이며 그래서 촉수가 있다고 보지않습니다. 나머지 8개의 팔은 이동과 먹이사냥에 사용되고 빨판을 이용해 어딘가에 부착하거나, 빨판에 있는 수용체로 주변환경을 감지합니다.이에 비하여 같은 연체동물에 속하는 앵무조개는 많은 촉수를 가집니다.앵무조개 촉수에는 빨판이 없습니다. 성별에 따라 수컷은 60개 암컷은 90개 정도의 촉수를 가지며 사냥에 사용합니다.
Q. 문어는 뇌가 있는 동물? 인가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 양서류, 무척추동물은 크기 모양 구조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뇌를 가집니다.문어는 무척추동물 중 뇌가 있는 동물입니다.문어는 지능이 상당히 높은 동물로, 경험을 통해 학습하기도 하며, 개체별로 다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지능이 높다는 특성 때문에 여러가지 실험이 시행되었고 관련된 다큐멘터리도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Q. 세균과 고세균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진정세균과 고세균은 세포핵이 없다는 점은 같지만 굉장히 많은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둘의 공통점으로 세포핵이 없다, 세포 소기관도 없다. 그리고 70S 크기의 리보솜을 사용한다.둘 다 고리형 DNA를 갖는다 정도가 있습니다. 둘의 차이점은 많은데진정세균은 히스톤이 없지만 고세균은 몇몇종이 히스톤과 비슷한 단백질을 가집니다.진핵생물은 DNA를 단백질까지 번역 할 때 사용하지 않는 인트론이 부분이 있습니다.진핵생물의 경우는 유전체에 인트론이 굉장히 많습니다. 진정세균의 경우 인트론을 갖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세균에는 약간의 인트론이 존재합니다. 진정세균은 펩티도글리칸이라는 당단백질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갖습니다.고세균은 이와는 다른 단백질들을 사용하며 슈도펩티도글리칸과 지질 다당류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갖습니다.또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의 성분과 결합구조가 다릅니다. 그리고 고세균은 진정세균은 생존하지 못하는, 끓을 정도의 높은 물, 유황지대, 소금농도가 높은 염전 같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종이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차이가 진정세균과 고세균을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야 하는 이유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