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르네상스가 왜 프랑스 말로 전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르네상스는 고대로마를 재건하려는 인본주의운동으로 서유럽에서 부흥했지만 그중심인 이탈리아에서 더욱 활발했습니다. 당시 르네상스는 중세시대인 암흑기를 딛고 일어서는 성공적인 문화부흥이었습니다. 르네상스의 기본적인 성격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복원을 추구하는것이며 흔히 문예 부흥으로 번역됩니다. 용어 르네상스의 의미는 '재생', '부활'이며 그 어원은 조르조 바사리의 책 "예술가 열전"에서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피에타 조각상 작품을 해석하면서 그리스와 로마의 재림이라 하여 이탈리아어로 리나시타(rinascita, 부활)라고 한 것입니다. 이것을 프랑스의 역사가였던 쥘 미슐레가 '르네상스(Renaissance, 재탄생)'(re, 다시 + naissance, 탄생)로 번역하고, 스위스의 역사가였던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1860년에 르네상스시대로 확실하게 정의 내렸습니다. 부르크하르트는 인문주의자들이 신이 모든 것의 중심인 그리스도교의 신본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이 모든 것의 척도였던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시절로 회귀하려 한 운동, 즉 인본주의(humanism)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다만 르네상스식 인본주의가 '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인간'을 의미한다는 해석에는 오늘날 많은 반론이 쌓여있습니다.
Q.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에서 행복은 어떤 것으로 말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마스 아퀴나스는 중세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및 신학자 중 한 명입니다.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기독교 신학을 통합하는 노력을 통해, 철학이 신학을 지원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그의 신학적 체계의 핵심을 구성하며, 기독교 신앙의 모든 주요 질문에 대한 그의 답변을 제공합니다.또한 그는 자연법 이론을 개발하여, 모든 인간의 행동이 근본적인 '자연법'에 의해 지배되며, 이는 신의 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그의 교훈과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독교 학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는 가장 중요한 철학자 및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토마스 아퀴나스가 언급하는 인간의 행복은 우주로부터 신의 은총으로부터만 가능하다는 것이며 자연으로서의인간은 행복을 추구하기 어렵다는 점이며, 신학과 철학의 접합에 힘쓰고자하는 행복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