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Q.  회화기법 중에 가장 많이 손이 가는 기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석판화 또는 극사실화일듯 합니다. 극사실도 지속적으로 쌓아올리는 기법으로하면 일년도 모자를정도로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Q.  파스텔 기법과 수채화 기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파스텔을 분필처럼 종이에 긁거나 문지르면 나오는 크레용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안료 가루에 파라벤처럼 굳어진 스틱형 드로잉재료입니다. 수채화는 워터컬러로 고채형물감을 붓으로 발라 그리는 채색화입니다.
Q.  유화로 그림을 그릴 때 도움이 되는 꿀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학으로 하기에는 그림이 소심하게 그려지게될 가능성이 높은게 유화입니다. 붓을 다루는 것(비비거나 누르는 힘조절)물감을 올리는 것(양조절)나이프를 활용하는 것(믹스)물감과 물감이 섞이는 요령(블랜딩) 등등 유화는 동화삽화나 일러스트 그림처럼 해당지역에 색을 칠하는 용도 보다는 인테리어공사의 퍼티작업이나 시멘트미장 안료물감 용해 등 시공기술에 더 가까운 재료입니다. 색 또한 어두운색부터 밝은색으로 얹혀주는 기법. 덜마른 타이밍에 올리는기법 보조제를 활용한 기법 등 많이 알아야하는데 우선 유화를 빠르게 늘고 싶으시면 젯소칠 된 캔버스 위에 바탕작업을 많이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붓의 스피드 힘 등을 각각 다르게 사용해보시고 붓의 각도를 많이낮추거나 높이면서 빗자루로 쓸어담듯이 화면을 펴보셔야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파레트에서 믹스를 하시는것이 화면에서도 파레트가 되어 섞어주실 수 있어야 유화를 제대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문의주세요~
Q.  피카소의 그림은 초등그림같아요 이 그림은 왜 뛰어난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역사적 배경과 작품기록을 바탕으로 피카소의 입체주의 시절 그림을 말씀하시는 듯합니다. 피카소는 후기 인상주의 화가인 폴 세잔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세잔의 조형적인 풍경과 정물 인물들을 보고 그 시대때부터 대상이나 자연을 화면에 고스란히 재연하는 그림은 유행상 배제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인상파 이후 입체주의 표현주의 야수주의 같은 미술운동이 시작됩니다. 그 모티브를 피카소는 아프리카나 이집트벽화에서 영감을 얻어 평면화면에 앞면 옆면 뒷면이 다 보이는 입방그림을 창작고안하게되며 그러한 어린이 같은 그림이 큐비즘이라는 기법으로 유명해지며 피카소를 대표하는 작품들이 출현하게된 역사이며 그 이후 작품에 붙이는 꼴라주기법 등 더욱 실험적인 작품들이 탄생하게됩니다. 20세기 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입체주의 작품으로 평가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작품은 개인의 미술적 사조나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보는 방식이 달라지니 어느정도 시대적배경이나 흐름을 이해해보시는게 좋습니다.
Q.  르네상스를 원년으로 라는 프레임처럼 르네상스는 어떤시대였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흔히 르네상스시대가 열렸다 라고 표현하는 르네상스시대는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서유럽 여러나라에서 일어났다고 생각되는 인간성 해방을 위한 문예 부흥 또는 문화 혁신 운동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현대에 와서는 르네상스의 개념이 중세와 근대 사이의 자연스러운 전환기일 뿐 독립적인 르네상스 정신이 있는 건 아니라는 데 학계의 넓은 공감대가 있지만 전통적인 르네상스 개념에 의하면 중세시대(암흑시대)를 극복하고 고전 문화를 부흥시켜 유럽의 문명적 승리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그러한 중세시대 암흑기를 개혁하고자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복원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이를 문예부흥이라고 표현하는데 르네상스의 의미는 재생, 부활이며 그 어원은 조르조 바사리의 책 "예술가 열전"에서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을 해석하면서 그리스와 로마의 재림이라 하여 이탈리아어로 리나시타(rinascita, 부활)라고 부르게 됩니다. 이것을 프랑스의 역사가였던 쥘 미슐레가 르네상스(Renaissance, 재탄생) (re, 다시 + naissance, 탄생)로 번역하고, 스위스의 역사가였던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1860년에 르(다시) 네상스(탄생,부활)로 확실하게 정의 내렸습니다. 부르크하르트는 인문주의자들이 신이 모든 것의 중심인 그리스도교의 신본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이 모든 것의 척도였던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시절로 회귀하려 한 운동, 즉 인본주의(휴머니즘)라고 해석했습니다. 다만 르네상스식 인본주의가 '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인간'을 의미한다는 해석에는 오늘날 많은 반론이 쌓여있습니다. 그렇게 르네상스는 각 유럽전역에서 퍼졌는데 그중에서도 고대로마의 중심인 이탈리아에서 꽃을 피었고 교황중심 주변 권력과 부에서 막대한 지지를 받고 일어서게됩니다. 과학. 기술. 미술. 수학. 문학. 지질학. 고고학. 천문학 등 다양한 인문활동이 시작되며 그중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가 대표적입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