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외국은 ELS와 같은 파생결합증권 가입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ELS(파생결합증권)는 한국 시장에만 있는 상품은 아닙니다.해외 주요국가의 ELS에 해당하는 상품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미국: Structured Notes라고 부르며, 일반 투자자도 비교적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일본: Structured Bonds라고 하며, 투자경험이 있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가입자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홍콩/싱가포르: ELN(Equity Linked Notes)이라 불리며, 재무상태증명이나 투자성향테스트 등 가입규제가 엄격합니다.대체로 해외는 투자자 보호차원에서 가입자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경제에서 본원소득수지가 무슨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본원소득수지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본원소득수지(Primary Income)는 한 국가와 다른 국가간에 투자적소득, 즉 이자, 배당금, 특허권 사용료 등을 지급하고 수취했을 때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말합니다.즉, 우리나라 투자자가 해외에 투자를 해서 벌어들인 수익금액과, 외국인투자자가 우리나라에서 투자해서 벌어간 수익금액의 차이를 본원소득수지라고 합니다.이 수치가 흑자라는 것은 우리나라가 해외투자에서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의미입니다.경상수지 흑자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본원소득수지 흑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네요.
Q. 우리나라의 내수 경제가 점차 위축되는 이유는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내수경제가 위축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첫째, 소득불평등과 임금체불 문제로 인한 중산층의 위축됨에 따른 소비위축이 큰 이유입니다.둘째, 인구의 고령화와 청년실업 문제로 소비 주체가 약화된 점도 한 요인입니다.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불공정한 경제구조로 내수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소득양극화 완화 및 중산층 보호 정책청년일자리와 소상공인 지원정책 확대대·중소기업 상생 정책강화소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단 발굴이를 통해 내수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Q. 모든 기업은 주식회사인지 아니면 개인 회사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모든 기업이 주식회사인 것은 아닙니다.기업의 조직형태에는 주식회사 외에도 합자회사, 유한회사, 합명회사 등이 있습니다.주식회사만 주식을 발행하고 주주를 둘 수 있는 것이 특징이고, 나머지 합자회사, 유한회사, 합명회사는 주식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주식회사 - 주식 발행 O합자회사 - 주식 발행 X유한회사 - 주식 발행 X합명회사 - 주식 발행 X대표적인 기업형태는 주식회사이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이나 가족기업의 경우 합자회사 형태를 택하는 곳도 있습니다.기업 설립시 선택할 수 있는 조직형태 중 하나로 주식회사와 다른 유한회사, 합자회사 등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