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융기관 CPC가 어떤 것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C는 "Central Point of Contact"의 약자로,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로부터 제출받는 업무보고서 중 하나입니다.CPC는 금융회사의 본점, 지점, 대리점 등 모든 영업점포를 대상으로 하며, 각 점포의 명칭, 소재지, 취급업무 종류, 임직원 수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PF 부실 위기와 같은 이슈가 발생하면 금융기관 직원들은 CPC 자료를 토대로 현황 파악과 대응 방안 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는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감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Q. 국내증권사의 해외부동산의 미평가손실에 대한 잠재적리스크가 얼마나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기업평가가 등급을 보유한 국내 증권사 23곳의 해외 부동산 투자 잔액은 2023년 3월 기준 총 10조8000억 원이며, 자기자본 대비 위험노출액 비율은 평균 16.9%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대형 증권사 및 일반 증권사 1곳의 경우 해외 부동산 투자 잔액이 자기자본 대비 40%를 넘기도 하는 등 업체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2019년 투자 비중이 45%를 넘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상당수 투자 건의 매각이 지연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4∼5년이 경과함에 따라 리파이낸싱(차환) 기한이 도래하면서 증권사들의 재무 부담이 확대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Q. 한국에서 작년에 중국산 수입차가 얼마나 증가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22년 중국산 자동차의 수입대수는 약 3만 7,000여 대로, 전년 대비 약 200% 증가했습니다. 이는 독일과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수치이며, 중국산 전기차의 수입 증가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 Y'를 2022년 부터 한국에 수출하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중국산 수입차의 비중이 크게 늘었습니다.
Q. 미국의 차량공유플랫폼 기업들의 매출과 실적이 급격하게 좋아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차량공유 플랫폼 기업인 리프트와 우버의 주가가 급격하게 좋아진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버회사 역사상 최초로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으며, 규모는 70억 달러입니다. 이는 화요일 종가 기준 시총 1,422억 달러의 5%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리프트매출은 예측치에 부합했으며, 주당순이익은 예측치를 상회했습니다. 2024년 매출 전망은 소폭 상향했으며, 플랫폼 총 탑승 횟수가 약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인력 감축을 통해 자본 지출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